한은 경기본부·경기硏 ‘지역경제 세미나’
반도체 수출 둔화·자동차 어려움 예상
남북 경제교류·교통 인프라 등 추진
제조업 위주의 경기도 산업 특성상 교역조건 개선에 어려움이 예상돼 내년도 경기도 경제성장률이 전년대비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경제전망이 나왔다. 특히, 설비투자는 낮은 수준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건설투자는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민병길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1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년 경기도 경제전망 및 경기북부지역 발전방안’주제로 진행한 ‘지역경제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행 경기본부와 경기연구원이 주최한 이날 세미나에는 도내 관계, 학계, 금융계, 언론계 및 연구기관 전문가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지영 수원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민 연구위원은 ‘2019년 경기도 경제전망’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내년도 경기도의 경제성장률은 전국보다 높은 수준을 지속하나 올해보다 조금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교역조건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실질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소폭 하회를 바라봤다.
이어 민 연구위원은 내년도 수출도 기대치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민 연구위원은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등도 회복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출이 한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진단했다.
세계경제 전망과 관련, 그는 선진국의 성장세가 약화하는 가운데 신흥시장국이 양호한 성장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미ㆍ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른 세계 교역량 감소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한국경제는 건설투자가 부진하고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지만, 민간소비 증가세가 지속과 설비투자가 소폭 확대되면서 완만한 성장세를 기대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김갑성 연세대 교수는 남북과 북미정상회담 개최 이후 남북 경제교류가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북한과 지리적으로 근접한 경기북부지역의 지역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이 통일된 이후 서독 접경지로의 이주 및 통근 인구가 많았던 점과 남측지역 내 경제협력 산업단지 조성 가능성 등에 비춰볼 때 많은 국민이 경기북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김 교수는 북한의 저임금 노동력을 이용한 노동집약적 산업뿐만 아니라 중ㆍ장기적 관점에서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기여하고, 지역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경제협력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한 중국과 일본, 러시아 등 다자간 협력을 통해 경제벨트 효과와 사업 리스크 분담, 접경지역의 환경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부지역 단기적 발전 방안으로는 ▲기존 사업의 조기 완공 등 선제적 교통 인프라 확충 ▲개성공단 재가동 및 고도화 추진 ▲산업 및 연구단지 중심의 경의축 개발 ▲농축 및 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한경원축 개발 ▲DMZ생태공원 조성 및 생태ㆍ안보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했다. 중장기적 발전방안으로는 ▲남북 간 고속교통망 확충 ▲통일 경제특구 조성 ▲DMZ 피스 클러스터 조성 ▲남북한 경제공동체특별구역(가칭) 조성 등을 주장했다.
구예리ㆍ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