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 착공식을 오는 26일 북측 판문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남북 정상이 합의한 연내 착공식이 실현되는 것이다.
통일부는 13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 착공식 관련 남북 실무회의를 열어 오는 26일 경의선 북측 개성 판문역에서 착공식을 개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이같이 밝혔다.
남북은 이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만나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 관련 실무회의를 가졌다. 회의에는 남측의 김창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장과 북측 황충성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장 등 연락사무소 상주자들이 참석했다. 남북은 착공식에 남측 인사 100여 명과 북측 인사 100여 명이 참석하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후속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철도·도로 착공식을 연내 열기로 한 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사안이다. 남북 정상은 4월 판문점 선언에서 경의·동해선 철도·도로 연결·현대화에 합의한 뒤 이를 구체화 했다.
8월엔 경의선 북측 도로를 현지조사 했고, 유엔군사령부의 군사분계선 통과 불허 등 우여곡절 끝에 결국 북측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 조사도 지난달 30일 착수했다.
남북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5일까지 경의선 ‘개성~신의주’ 구간 조사를 마쳤고, 지난 8일부터 17일까지는 동해선 ‘금강산역~두만강역’ 구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동해선 도로 조사도 가급적 착공식 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착공식 이후에 진행될 가능성도 열어놨다.
통일부 당국자는 “동해선 도로 조사 일정을 북측과 협의 중”이라며 “도로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착공식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미국 측과도 착공식에 반입되는 물자의 제재 면제 등을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한미간 워킹그룹 회의 등을 통해 이 문제를 풀어나갈 걸로 전망된다.
다만, 착공식 이후에도 본격적인 ‘착공’까지는 시일이 상당히 소요될 전망이다. 착공 과정에 대북 제재 면제 등이 상당한 수준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철도조사를 마친 뒤 추가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설계 등을 단계적으로 하게 될 것”이라며 “실제 공사는 대북 제재를 지켜봐 가면서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