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후에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남녀 고용률…여성 취업자 경력단절 심각

남녀의 고용률이 결혼 전에는 비슷하지만, 결혼 후에 여성의 경력단절로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통계청의 ‘2018 일·가정 양립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남녀 고용률 차이는 미혼인 경우 1.6%포인트였으나 기혼의 경우 28.5%포인트에 달했다. 양쪽 모두 남성의 고용률이 높았다.

고용률은 미혼자의 경우 남성이 52.8%, 여성이 51.2%였으며 배우자가 있는 이들의 경우 남성은 81.9%, 여성은 53.4%였다.

이는 여성 취업자가 결혼, 임신, 출산, 육아, 자녀 교육, 가족 돌봄 등을 위해 일을 그만두는 이른바 ‘경력단절’을 심각하게 겪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기준 15∼54세 기혼 여성 취업자 중 경력단절 경험자의 비율은 37.5%였다.

2017년 기준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는 220만 7천 가구로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48.6%였으며 전년보다 그 비율은 0.2%포인트 높았다.

같은 해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아버지의 고용률은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높고, 어머니의 고용률은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낮았다. 아버지의 고용률은 자녀가 6세 이하인 경우 97.1%, 7∼12세이면 96.5%, 13∼17세이면 94.7%였지만 어머니의 고용률은 각각 46.4%, 59.5%, 69.2%의 분포를 보였다.

올해 조사에서 ‘남편과 아내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59.1%였다. 하지만, 실제로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한다고 응답한 남편은 20.2%, 부인은 19.5%에 불과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