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도시재생 뉴딜 사업 후보지 100곳 내외 선정…상반기 30곳 선정

정부가 내년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 후보지로 100곳 내외를 선정,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019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과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개정안 등을 마련해 제15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국토부는 내년에 총 100곳 내외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역을 3월부터 선정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으며, 인프라 시설의 국가 최저기준도 정비했다. 우선 내년 3월에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등이 이미 준비된 30곳 내외를 사업지로 선정하고, 나머지 70곳은 하반기에 마저 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각 부처와 협업해 도시재생 사업지에 생활 SOC 복합공간을 조성하고 창업ㆍ주거 등 복합 앵커시설, 청년 창업 지원형 공공임대상가 등 혁신거점 공간 조성 사업 등을 벌일 예정이다. 주력산업이 쇠퇴해 어려움을 겪는 산업위기 지역에서도 재생 사업지를 중점적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공기업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건축물의 용도, 용적률 등 도시계획상 특례를 부여하는 ‘도시재생혁신지구’를 지정해 지역의 혁신성장을 촉진해 나갈 방침이다.

내년도 첫 사업은 1월 말 신청받아 서면평가, 현장실사, 종합평가 및 부동산 시장 영향 검증절차 등을 거쳐 3월 말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한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의 용역을 통해 기초생활 인프라 최적기준을 생활밀착형 기준으로 재정비해 국민이면 어디에 거주하든 적정 수준의 삶을 보장해 주기로 했다.

김이탁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력 제고 등을 위해 구도심 쇠퇴지역 재생과 경제기반 재생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