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고차 수출단지 군산 계획… “인천 홀대” 거센 반발

국내 중고차 수출 물량 90% 처리 車클러스터 추진속 충격
인천항 관련업계 “신규로 조성 막대한 예산낭비·전시행정”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북 군산항에 중고차 수출복합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하자 인천항 관련업계가 ‘인천 홀대론’을 제기하는 등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인천 경제단체와 항만업계뿐 아니라 지자체까지 나서 인천항을 중고차뿐 아니라 신차 등을 처리하는 자동차클러스터 조성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추진 과정에서 발표돼 관련 업계의 충격이 크다.

18일 인천 항만업계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 세종청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조업 활력 회복과 혁신’을 주제로 내년도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산자부는 이날 보고를 통해 지역 제조업 활력회복, 제조업 혁신 가속화,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 제고, 깨끗한 에너지 전환 추진, 산업혁신 지원하는 통상·무역정책 추진 등을 내년도 역점 추진과제로 설명했다.

특히 지역 제조업 활력회복 프로젝트는 제조업 경기둔화가 뚜렷한 4개(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산·경남) 지역에 대해 정부가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일감 확보, 신산업 창출, 사업 전환, 기업유치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GM공장 폐쇄 여파가 큰 군산지역에 중고차 수출복합단지를 조성하고 수소 사용차 확산 등을 추진하며 대구·경북은 자율주행차 실증과 철강재 수요창출 등을, 광주·전남은 친환경 공기산업 육성 등의 지원에 나선다.

문제는 인천경제계와 인천항 및 중고차 관련업계가 인천항 자동차클러스터 조성을 해양부에 건의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표돼 관련업계 반발이 거세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장은 “정부의 군산항 중고차 수출복합단지 조성 계획은 해양부와 산자부 간의 부서 이견이 조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중고차 수출 물량의 약 90%를 처리하는 인천항을 국가 차원에서 활성화 시켜야지, 신규로 중고차 수출복합단지 항만을 조성한다는 것은 막대한 예산 낭비이자, 전시행정”이라고 비판했다.

박영화 (사)한국중고자동차수출조합회장은 “인천항은 대한민국 중고차 수출의 메카이자, 최적지”라며 “정부에서 인천항 중고차단지 조성을 위한 예산지원이 이뤄진다면 현재보다 배 이상의 물동량을 창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에서 군산항 중고차 수출복합단지를 조성한다 해도 처리 물동량은 미비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군산항 지원은 그동안 정부가 부산항과 광양항의 투 포트((two-port) 정책의 피해가 큰 인천항을 또 홀대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군산항에 중고차 수출복합단지를 조성하더라도 바이어가 머물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며, 물동량 창출도 미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산자부의 업무계획 발표 직전인 지난 17일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인천항 자동차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회의를 열고 공감대를 형성한 데 이어 구체적인 사항은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키로 했다.

허현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