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펜션 참사, 일산화탄소 경보기만 있었어도 막을 수 있었다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강릉시 경포의 아라레이크 펜션 2층 발코니에서 18일 밤 국과수와 경찰 관계자들이 가스보일러 연통을 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강릉시 경포의 아라레이크 펜션 2층 발코니에서 18일 밤 국과수와 경찰 관계자들이 가스보일러 연통을 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릉 펜션 참사의 원인으로 일산화탄소 중독에 무게가 실리면서 가스 누출 경보기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지난 18일 강원 강릉에서 수능 시험을 마친 후 펜션에 놀러 온 서울 대성고 3학년 학생 10명 중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병원으로 옮겨진 나머지 7명은 현재 치료를 받으며 조금씩 호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사고가 난 아라레이크 펜션에서는 일산화탄소 농도가 150~159ppm으로 정상 수치(20ppm)보다 무려 8개 가까이 높게 측정됐다. 경찰은 펜션 내 가스보일러를 사고 원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해당 펜션의 보일러 배관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채 어긋나 있었다. 가스누출경보기도 없는 것으로 확인돼 인재(人災)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일산화탄소 경보기만 있었더라면 사고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탄식이 곳곳에서 나온다.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소할 때 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로 누출되더라도 쉽게 알아차라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일상 속 유독가스 중 위험한 기체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가 의무화 돼 있다.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