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역 14개 대학교 복수학위제 도입 ‘스톱’

경인대학총장協, 보류 검토… 학생 반발 일부 학교 ‘반대’ 입장

경인지역 소재 14개 대학교가 학교 간 복수학위제 도입을 추진하자 일부 학교 학생들이 강력 반발(본보 12월18일자 1면)한 가운데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가 제도 도입에 대한 보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이하 총장협의회)소속 대학들에 따르면 총장협의회는 이른 시일 내에 복수학위제 도입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할 예정이다.

단국대 등 총장협의회 소속 일부 대학들에서 학생들 반발이 심화되자 이에 대한 각 학교 측의 의견수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별도로 일부 학교들에서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번 복수학위제 도입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여론이 들끓자 진화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다.

용인 단국대는 복수학위제 대상이었던 법학과와 응용통계학과는 학과 차원에서 복수학위제 도입 여부에 대한 철회 입장을 발표했다. 법학과는 19일 학과 교수들과 학생 대표들이 협의를 거쳐 복수학위제 참여를 철회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앞서 응용통계학과에서도 복수학위제 도입에 대한 학생들의 반발이 일파만파 커지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학과 교수들이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 복수학위제 도입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복수학위제 규탄대회 소속 학생들은 ‘학과’ 차원이 아닌 ‘학교’ 차원에서 제도 시행 자체를 철회하지 않는 이상 투쟁을 계속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황동준 단국대 재학생(20)은 “학과 차원에서 복수학위제 참여를 철회한 것은 성과이지만, MOU 자체가 폐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MOU가 철회될 때까지 시위 등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인천대는 19일 학교 차원에서 복수학위제 철회를 공식 발표했다.

이날 인천대 대학본부와 학생 대표들은 2차 면담을 진행하면서 ‘경인지역 복수학위제를 철회한다’는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 체결했다.

한편 총장협의회에는 경인지역 내 학교 32곳이 가입돼 있으며 이 중 14곳이 소속 대학과 교류 대학 모두에서 학위를 받을 수 있는 복수학위제 도입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양휘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