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청정지역’ 경기동북부 안전지대 아니다

농촌 폐기물 소각·고형연료 영향
동두천·여주 등 전국 평균보다↑
道 “공장 현장단속 등 해결 노력”

▲ 미세먼지로 인해 뿌연 도내 상공

그동안 ‘미세먼지 청정지역’으로 인식되던 경기 동북부 지역이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천소각 및 고형연료 등 숨은 발생원이 동북부 지역 곳곳에 포진, 전국 평균을 웃도는 미세먼지 농도를 보였다.

20일 경기연구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 동북부 시ㆍ군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평균인 4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동두천ㆍ여주 57㎛/㎥, 양주 55㎛/㎥, 이천 54㎛/㎥ 등이다. 포천은 2015년 65㎛/㎥, 2016년 55㎛/㎥, 지난해 48㎛/㎥로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전국 평균보다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경기 동북부 지역은 산업단지, 교통량 등이 경기 남부 지역보다 적어 상대적인 미세먼지 청정지역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이들 지역 내에는 숨은 미세먼지 발생원들이 다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동두천과 포천은 관내에 위치한 발전소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동두천 광암동 일대에서는 56t의 미세먼지가 집중 배출됐으며, 이들 미세먼지의 99%가량은 에너지 산업(발전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여주, 양주, 이천 등에서는 주민들이 농촌 폐기물 등을 태우는 ‘노천소각’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주 점동면에서는 18t, 양주 장흥면에서는 29t, 이천 신둔면에서는 52t의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배출됐다. 해당 지역에서 배출된 미세먼지의 95%가량은 생물성 연소에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포천과 양주에는 B-C유ㆍ고형연료를 이용하는 사업장이 집중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B-C유ㆍ고형연료 사용사업장 수는 총 159개소인 가운데 포천 57개소, 양주 50개소 등 동북부 지역에 90%가량 집중됐다. B-C유와 고형연료를 사용하면 LPG 등을 사용할 때보다 대기오염물질을 많이 배출해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지난 10월에 발표한 미세먼지종합대책에 노천소각 문제를 과제로 담았다. 불법 연료를 사용하는 공장에 대해 지속적으로 현장 단속을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계속 이어나가겠다”며 “도내 곳곳에 숨은 미세먼지까지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전국적으로 대기가 정체되면서 경기 북부권에는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졌다. 주의보가 내린 곳은 김포, 고양, 의정부, 파주, 연천, 양주, 동두천, 포천 등으로 해당 지역의 1시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86㎍/㎥였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