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서 처리까지 시스템 마련 환경오염 문제 해결 모색해야”
인천 옹진군 백령·대청면 일대에 방치된 까나리액젓 찌꺼기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리에서 처리까지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5일 옹진군과 환경전문가 등에 따르면 현행 자원순환기본법에는 까나리액젓 찌꺼기와 같은 폐기물 처리는 단순히 바다에 버리는 것이 아닌 재활용 시스템을 찾거나, 육지로 이송해 직접매립이 아닌 전처리시설을 활용해 처리해야 한다고 적시 돼 있다.
자원순환기본법 자체가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폐기물을 적정하게 재활용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제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옹진군이 국·시비를 확보해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육상으로 배출할 방법을 만들거나, 백령·대청면 어민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해 재활용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재활용 시스템은 까나리액젓 찌꺼기에 효소·효모를 조합해 사료를 만드는 것으로, 사료 판매를 통한 어민들의 추가 수익도 창출할 수 있어 일거양득의 효과가 기대된다.
김장균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는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사료화할 수 있는 방안에 주목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또 그는 해양 환경적인 측면에서 양식장에 사용하는 배합사료를 천연사료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스템 구축비용은 백령·대청면 어민이 힘을 모아 협동조합 형태로 만들면 가능하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양식장에 사용하는 사료는 생선의 뼈와 내장 등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친환경적이지만, 가격이 비싸 화학사료 등을 섞은 배합 사료를 쓰는 실정”이라며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효소·효모 등을 활용해 사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다면 재활용은 물론, 어민 추가 수익 창출 등 2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해양환경 전문가는 옹진군이 국·시비를 확보해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육상으로 배출할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처리시설을 갖춘 폐기물 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면 비용은 들지만, 환경 친화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서다.
이 전문가는 “바다에 버리는 것이 적법하냐 하지 않느냐를 따지기 전에 먼저 자원 재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보고, 그게 어렵다면 육지로 이송해 전처리시설을 갖춘 폐기물 처리 업체에 맡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다만, 이렇게 되면 처리비용이 바다에 버리는 것보다 많이 드는데 옹진군이 국회 등 정치권을 활용해서라도 국·시비를 따내야 할 것”이라면서도 “이 같은 의견에 앞서 옹진수협이 3천여t 중 1천200t를 처리하고 나서 남는 1천800여t를 조속히 처리해야 할 것” 이리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옹진군 관계자는 “까나리액젓 찌꺼기를 냉동시켜 양식장에 사료화하거나 발효해 퇴비 등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까나리액젓 찌꺼기 처리에 대한 어민교육과 액젓 찌꺼기 보관 장소를 비롯해 남아있는 액젓 찌꺼기도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는 방법을 찾아 처리하는 등 다각적으로 검토해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했다.
송길호 허현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