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游客)가 돌아올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에버랜드의 경우 11월 한 달간 7만 3천여 명의 외국인이 찾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만 6천여 명에 두 배 가까운 수치다. 외국인 방문객의 상당수가 중국인임은 물론이다. 11월은 통상 놀이시설의 비수기 시작이다. 이를 감안하면 중국 관광객의 방문이 확연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민속촌의 경우도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지난해 11~12월 두 달간 외국인 방문객은 1만 2천 명에 그쳤다. 올해는 이미 1만 5천 명을 돌파해 기간 대비 25%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관광객의 본격적인 대한(對韓) 관광 재개로 볼 수는 없다. 중국 당국으로부터 공식화된 한국 여행 자유화 발표는 없다. 중국 정부의 이른바 ‘4불 정책’-온라인 여행사 취급 금지ㆍ전세기 금지ㆍ크루즈선 금지ㆍ롯데그룹 산하기업 이용 금지-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지금 보이는 방문객 증가는 상해, 베이징, 산동 등 일부 중국 지역에서 오프라인 관광 상품을 통해 들어오는 관광객이다. 20~30% 정도 늘어난 방문객도 금한령 이전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최근 몇 년치와 비교되면서 빚어지는 착시현상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내년 봄 준비’다. 북한과 미국 사이에 정상회담이 연초로 어림잡혀 있다. 한반도 긴장 완화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세계 경제를 옥죄고 있는 미ㆍ중 무역 전쟁도 연초를 전후해 극적인 반전이 기대된다. 중국의 금한령 발효는 미국의 한반도 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때문이었다. 비핵화를 둘러싼 남북 긴장도 금한령 지속의 한 원인이었다. 내년 초 북ㆍ미, 미ㆍ중, 남북 관계 호전은 한중 관광 교류 재개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 틀림없다.
이쯤에서 지자체가 해야 할 일이 있다. 준비다. 사드 보복 이전까지 도내 지자체는 저마다 중국 관광객 흡수를 위한 행정을 폈다. 중국인의 기호에 맞는 관광 상품을 개발해 운용했다. 중국인 편의를 위한 통역원 기용ㆍ음식 거리 조성 등도 마련했다. 공항과 항만마다 지역 관광을 홍보하는 마케팅도 진행했다. 이 모든 게 최근 3~4년 사이에 사라졌다. 현재 중국 관광객 맞이를 위한 지자체 행정이 전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걸 부활해야 한다. 다시 채용하고, 만들고, 가동해야 한다.
관광 특수란 게 늘 미리 준비된 지역과 미리 준비한 자의 몫이었다. 내년 봄을 전후해 유커 귀환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게 다수의 예상이다. 준비하는 지자체와 준비하지 않는 지자체의 차이가 그때쯤 구별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