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광역환경사업소, 대기질 개선 실패 원인 컨테이너선 등 지목
항구 정박시 육상 전기공급… 대기오염물질 97% 감소 전망
평택항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PM 2.5)로 인해 평택 지역 전체가 주거 불가지역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본보 6월 29일자 1면) 가운데 평택항 대기질 개선을 위해선 선박 매연 저감 조치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평택항 일대 대기질을 개선하려면 고압육상전원공급설비(AMP)를 확대해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해야 한다고 27일 밝혔다. AMP는 선박의 항만 정박 시 필요한 전력을 벙커C유나 경유 대신 육상 전기로 대체해 공급하는 시설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97%가량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평택항 대기질 개선을 위해 환경오염물질배출사업장 점검, 대기질 모니터링을 위한 이동식 측정기 추가설치 운영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미세먼지 수치를 줄이는 데는 실패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 1월~10월 실시한 미세먼지 현황 조사 결과, 평택항의 미세먼지 평균농도는 초미세먼지 기준 연간 30㎍/㎥로 경기도 평균(23㎍/㎥)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이처럼 평택항 대기질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선박 매연을 지목했다. 평택항을 드나드는 대형 컨테이너선 등에서 다량의 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평택항에 입출항 한 선박 수은 2만 t급 컨테이너선 등을 포함해 모두 3천391척으로 6억 247만 5천 t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형선박은 육상에서 사용되는 벙커C유(황 함유량 0.5%)보다 무려 7배나 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벙커C유(황 함유량 3.5%)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대형 컨테이너 선박 1척에서는 50만 대의 트럭에서 배출되는 양에 해당하는 미세먼지가 배출되면서 평택항 일대 대기질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 관계자는 “평택항 대기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면 AMP 설치 등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고압육상전력 시설을 설치한 부두와 선박에 전기사용료 인하 및 입항료 인하 혜택을 주는 등 정부의 다각적인 정책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 광역환경관리사업소는 평택항 대기질 개선을 위해 내년부터 과속단속 카메라 도입을 통해 대형 화물차량의 속도 저감을 도모하는 한편 지속적인 비산먼지 배출사업장 점검, 공회전 금지구역 지정 등 다양한 오염물질 저감 방안을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