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투명한 인사·복지제도 개선 등 요구… 10일 1차 조정
지난해 13차례에 걸쳐 사측과 교섭을 벌인 네이버 노동조합이 사측과 접점을 좁히지 못하자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이에 국내 최대 포털 업체인 네이버의 노사 대립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네이버 노조 ‘공동성명’은 2일 “네이버 법인을 상대로 지난 26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 신청을 했다”며 “1차 조정 일자는 오는 10일이며 오세윤 지회장, 정민철 수석부지회장, 박상희 사무장 등 7명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6일 열린 13차 교섭에서 사측 교섭 위원들은 전차 교섭에서 합의사항을 깨고, 추가 10개 안 논의를 우선 요청했으며 노조가 제시한 수정 양보안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았다”며 “교섭이 결렬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 이후 조정 신청까지 20일 동안 회사 측으로부터 교섭 재개 요청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정 역시 교섭과정의 일부라 생각하며 지난 교섭에서 보여줬던 것과 마찬가지로 열린 자세로 회사와 대화에 임할 예정”이라고 했다.
공동성명은 조정 신청에서 주요 쟁점 사항으로 ▲기본적인 조합활동 및 홍보활동의 보장 ▲인사 및 평가에서 투명성 확보 ▲온전히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위한 복지제도 개선 등 노조 안 10개 조항과 사측 요구안 2개 항목을 제시했다.
오는 10일 열리는 1차 조정은 노조가 추천한 사용자 위원, 사측이 추천한 근로자 위원, 중노위의 공익 위원 등 3명의 위원이 조정위원회를 꾸려 노사 당사자 간 입장, 쟁점사항 등을 청취한 뒤 조율ㆍ설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조정위원회는 당사자 간 입장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조정안을 내놓는다. 다만, 이 조정안은 양측이 다 동의해야 성립되며 강제 권한은 없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중노위 일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문민석ㆍ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