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구리시의 주요정책이나 지역사회 주요 의사결정에 주민들이 참여하고 과정 및 결과에 대해 모두가 투명하게 공유하는 것들이 기술혁신으로 접목될 전망이다.
구리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러한 시스템이 가능한 블록체인을 행정 서비스에 적극 도입키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최근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월간업무 훈시에서 부서별 행정에 블록체인 기술의 연계성 방안을 당부했다. 실제 업무 추진과정 또는 시민의견 수렴 방법은 물론 수렴한 의견을 구체화하는 등 행정의 전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적용을 강도 높게 주문했다.
현재 시는 약 3천 명 정도의 여론주도층이 좌우하던 시민들의 의사결정 구조를 20만 전체 시민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는 방향으로 전환해 시민 생활과 직결된 공공서비스를 혁신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구리시 최대 현안 사업으로 부각된 소각장을 원점에서 전면 검토하는 문제를 비롯, 2023년 개통 예정인 지하철 8호선을 6호선, 9호선과 연결되는 환승역 신설 및 다산신도시 등 인접 도시 영향에 따른 교통증가의 전체적인 시민여론을 공론화, 시책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부양공원의 몸놀이터의 경우처럼 어떤 사업을 진행할 때 과장이나 팀장, 실무자들만 고민하고 결정할 것이 아니라, 학부모와 어린이들과의 공동체를 만들어 그들이 주도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의 국내ㆍ외 동향 및 사례 등을 벤치마킹해 부서별 행정서비스에 적용함과 동시에 직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화 교육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안승남 시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맞는 새로운 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공무원들도 블록체인, 중요한 자료, 사물인터넷 등 ICT기반의 스마트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구리=유창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