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인일자리 61만개 공급…전년대비 10만개 증가

올해 ‘노인 일자리’ 61만 개가 공급된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예산 1조 6천487억 원을 투입, ‘노인 일자리’를 지난해보다 10만 개 늘려 총 61만 개를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노인 일자리는 소득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공급하는 일자리로 성격에 따라 공익활동, 사회서비스형, 시장형사업단, 시니어인턴십, 재능나눔 등으로 나뉜다. 1인당 월평균 보수는 10만 원에서 137만 원 사이로 일자리 유형에 따라 다양하다.

기존 ‘공익활동’의 질적 개선을 위해 지역아동센터나 장애인시설 등에서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올해 2만 개 신설됐다. 월 60시간 활동 기준 54만 원(주휴수당 등 별도)을 지급한다. 아울러 예년에는 노인 일자리를 3월부터 공급했으나 올해는 실내 공익활동과 시장형사업단을 중심으로 1월부터 제공한다.

또 공익활동의 경우,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우선 신청을 받고 일자리가 남으면 60∼64세(차상위계층 우선) 노인에게도 참여 기회를 준다. 수당이나 임금은 지금까지는 공익활동 또는 근로한 다음 달 5일까지 지급했으나 올해부터는 당월 말일 이내에 준다.

복지부 관계자는 “사업 시작시기가 예년보다 앞당겨 짐에 따라 참여자 모집기간이 대부분 1월 10일 이전에 마감될 수 있으므로 노인 일자리 참여희망자는 서둘러서 신청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노인 일자리 사업에 대한 정보는 지방자치단체 노인 일자리 담당부서, 거주지 인근 시니어클럽, 노인복지관, 노인취업지원센터 등 노인 일자리 수행기관에 문의하면 된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