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2년까지 일자리 55만개 창출”

고용률 71.2% 실업률 3.9% 달성 80개 실천과제 설정
바이오산업 육성 등 청년·여성·어르신 맞춤 일자리 지원

인천시가 오는 2022년까지 ‘일자리 55만개 만들기’에 나선다.

시는 ‘민선 7기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통해 2022년까지 고용률 71.2%, 실업률 3.9% 달성, 일자리 55만개 만들기를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일자리 시스템 혁신,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맞춤형 일자리 지원,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 등 4대 분야 14개 추진전략과 80개 실천 과제를 설정했다.

추진전략은 ‘일자리 거버넌스 활성화(2개 과제)’, ‘데이터 기반의 열린 일자리 행정 구현(3 〃)’, ‘인천형 혁신성장 산업 육성(9 〃)’, ‘글로벌 인천공항경제권 구축(8 〃)’, ‘문화관광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5〃)’, 지속 가능한 창업생태계 구축(7〃)’ 등이다.

또 ‘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 지원(6개 과제)’,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4〃)’, ‘대상별 일자리 지원(6〃)’, ‘원도심 균형발전을 통한 일자리 창출(3〃)’, ‘산업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6〃)’, 요자 맞춤형 인력양성(6〃)’ 등도 포함했다.

시는 추진전략에 따라 세분화한 일자리위원회 운영 등 80개 실천 과제 이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고용 창출 기업 지원을 강화해 일자리 정책 로드맵을 실현할 방침이다.

시는 먼저 오는 2월 중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발족해 지역 여건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개발하고, 일자리 종합포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일자리위원회는 민·관 공동위원장을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등 다양한 일자리 관련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게이트 키퍼 (Gatekeeper)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인천의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 등에 대한 사항을 조정하며, 일자리 정책의 로드맵 마련과 일자리 정책의 발굴 및 평가를 진행한다.

특히 시는 공항·항만·경제자유구역·녹색기후기금(GCF) 등 인천의 강점을 바탕으로 4차산업 혁명에 대비하고, 바이오산업·녹색기후산업을 육성하며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에 주력한다. 이와 함께 청년·여성·어르신·신중년 등 정책 대상에 따라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하고, 사회적 경제 기반 조성과 고용여건 개선으로 행복한 일자리 만들기에 집중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시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의 주인공인 기업과 소상공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것”이라며 “시민이 요구하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