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공약인 ‘대통령집무실 광화문 이전’ 사실상 무산…야권, “정치적 도의 저버린 결정”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통령집무실 광화문 이전’ 을 보류하기로 함에 따라 야권에서는 강한 반발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춘추관에서 진행된 브리핑에 따르면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대통령집무실 광화문 이전이 사실상 백지화 됐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더욱이 이날 브리핑에 함께 참석한 유홍준 광화문 대통령 시대 위원회 자문위원도 “집무실을 현 단계에서 광화문 청사로 이전하면 청와대 영빈관·본관·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기능 대체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앞서 청와대는 유 자문위원을 지난해 2월 위촉한 뒤 그를 중심으로 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내려 했으나, 결국 자문위원만 임명됐을 뿐 위원회는 구성되지 못한 셈이다.

유 자문의원은 경호와 의전 관련 동선을 만드는 것은 물론 보안과 비용문제가 걸림돌이 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은 2021년 5월을 목표로 하고 있어, 사업이 완료되면 문 대통령의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아 집무실 이전을 재추진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대신 유 자문위원은 “광화문 대통령을 하겠다는 뜻은 ‘국민과 소통과 청와대 개방’이 기본 기조였다”며 이런 취지는 살려가겠다고 설명했다.

유 자문위원은 “경복궁-청와대-북악산을 연결해 (시민들이 경복궁과 청와대를 거쳐) 북악산을 올라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야권에서는 이 같은 결정이 정치적 도의를 저버린 선택이라며 강도 높은 비판에 나섰다.

4일과 5일에 걸쳐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문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공약으로 제시한 ‘광화문 대통령 시대’ 안의 백지화를 한목소리로 비판하며 정부의 사과를 요구했다.

4일 저녁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대통령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이전하겠다는 대국민 공약을 철회한 데 대해 문 대통령은 사과부터 해야 한다”며 “대선 공약으로 효과는 다 보고 국민과의 약속은 휴지통에 내던진 것으로, 정치적 도의를 저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5일 오전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현실성 없는 거짓 공약으로 국민을 우롱한 정부는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 고 말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전날 유 자문위원이 “공약 발표 당시의 논조가 실무적 검토가 아닌 소통 강화라는 이념적 취지였던 것 같다” 고 발언한 것에 대해 “더 이상 즉흥적인 포퓰리즘에 근거한 약속은 남발하지 마라” 고 지적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