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내세웠던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공약이 무산된 것과 관련,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대통령 특권 반납을 위해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내세워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로 이전하고 청와대 개방을 공약한 바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지난 4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과 유홍준 광화문 대통령 시대 위원회 자문위원 브리핑을 통해, 유 자문위원과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등 전문가들이 역사성, 보안, 비용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를 대통령께 보고했다고 설명하고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공약 이행이 보류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야 4당은 “1호 공약부터 파기했다”며 한 목소리로 비판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운영의 묘를 발휘한 것”이라며 야당의 비판을 일축했다.
한국당 이양수 원내대변인은 6일 논평을 내고 “문 대통령의 1호 대선 공약인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 광화문 이전 약속을 파기해 비난이 증폭되고 있다”면서 “대통령이 국민과 한 약속을 어겼으니 대국민 사과도 직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청와대든 광화문이든 ‘어디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가’는 국민에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대통령이 ‘실제 국민과 소통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문제인 것이다”며 “대통령께서 ‘실제 국민과의 소통’이라는 사안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는 것에 대해 국민과 함께 개탄한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정화 대변인은 지난 5일 논평에서 “무능은 팩트, 위선은 일상, 거짓말은 현재 진행형인 문재인 정부다”면서 “현실성 없는 거짓 공약으로 국민을 우롱한 문재인 정부는 국민께 사죄해야 할 것이다”고 촉구했다.
민주평화당 김정현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집무실을 국민들과 소통하기 좋은 곳으로 옮기겠다는 공약을 못 지키게 됐으면 우선 국민들께 경위를 직접 설명하고 못 옮기는 것에 대해 사과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 역시 “20개월 만에 허무하게 사라진 ‘광화문 대통령’ 약속은 2012년 대선 당시부터 문 대통령이 제시한 오랜 공약”이라며 “퇴근길 대통령과 소주 한 잔을 상상했던 국민들은 면밀한 검토 없이 제시된 ‘공약’(空約)‘에 속이 쓰리다”고 꼬집었다.
반면 민주당 조승현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역사성·보안·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를 존중하며, 우리 경제가 또 한 번의 도약을 위해 박차를 가하는 시점에서 운용의 묘를 발휘한 결정이라 생각한다”고 긍정 평가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