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고양시장, “고양시를 잠자는 도시가 아닌 깨어있는 도시로”

“고양시의 발목을 잡는 규제와 부담 떠넘기기에 강력히 대응하고 새롭게 찾아온 기회와 미래에는 과감히 투자하겠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8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하고 시민 일자리 창출, 평화경제로 자족도시 실현, 대화에서 지축까지의 균형발전, 1순위 SOC인 환경에 대한 투자, 교육복지안전 등 생활밀착형 사업 추진 등 2019년 고양시 5대 역점 분야를 발표했다.

이 시장은 “주거 기능 확대에 급급해 도시 고유의 ‘색’을 잃어버린 고양시의 불합리한 희생은 줄이고 새로운 기회는 적극 활용함으로써 더 이상 밤에 잠들러 오는 도시가 아닌 낮에도 깨어있는 활기찬 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새해 고양시 정책의 우선순위를 꼽으라면 단연코 ‘일자리’다.

2019년 일자리 정책 중에서도 창업 지원이 눈에 띈다. 이는 기존 유수기업들의 유치가 어려운 고양시에서, 자생력을 갖춘 신생 기업을 키워나가겠다는 취지다.

원당에 3층 규모의 ‘스타트업 센터’를 내년까지 건립하고 청년들의 전용 공간인 ‘28청춘 창업소(가칭)’와 청년아카데미를 만들어 청년들이 톡톡 튀는 창업 아이디어를 구상하게된다. 1월 개소하는 ‘경기문화창조허브’는 2020년까지 방송영상콘텐츠 분야에서 170건 이상 창업을 목표로 운영된다.

남북 공동협력기업 유치, 문화예술교류 등 접경지역의 이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통일경제특구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남북 통일에 앞서 ‘문화통일’을 이루기 위해 고양시의 남북표준 시범도시를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준광역시로서의 위상을 인정받는 ‘100만 특례시’ 격상을 앞둔 시점에서, 35년이 경과된 시청의 신청사 입지를 선정하고 건립 추진하여 평화경제특별시의 행정 컨트롤타워로서위상을 강화한다.

일산테크노밸리, 방송영상밸리 등 5개 대형개발사업을 묶은 ‘고양테크노밸리’가 올해 본격 궤도에 오른다. 국제철도역 유치를 추진하는 대곡역세권 개발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된다.

LH의 ‘무책임한 택지개발’에 대해서도 강경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자족단지에서 주거단지로의 잦은 용도변경, 막대한 이익은 챙기고 기반시설 조성은 지자체에 떠넘겨 온 ‘나몰라라 식’ 공공개발로 고양시를 베드타운으로 전락시키는 데 일조해 왔다는 것이다.

2019년 고양시 균형발전의 키워드는 도시재생이다. 도시 경쟁력은 도시의 고유한 색깔과 정체성에서 발로하며, 마을 고유성과 공동체를 되살리는 재생을 통해 대화에서 지축까지 고른 발전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현재 원당, 화전, 일산, 삼송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 시장은 “고양시의 2019년은 사실상 지난 반 년 전부터 시작됐다. 올해 정책을 고민하고 예산을 준비하는 산고의 기간이었다. 이제 도시를 위한 성장이 아닌 시민을 위한 성장의 해를 만들겠다”라며, 1월 조직개편으로 조직을 탄탄하게 구성해 정책 실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ㆍ송주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