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 일부 고양에 걸쳐 있어 道 “지축교 인근 역 설치” 요구
서울이 ‘변경 불가’ 고수하자 “사업비 분담 거부” 초강수
신분당선 서북부연장노선 내 역사의 위치를 놓고 경기도와 서울시 간 충돌이 빚어질 전망이다. 양 지자체가 각자의 주민 편의를 강조하는 가운데 서울이 도민 편의를 일방적으로 무시, 역사와 멀어진 인근 도민 2만 2천여 명의 발이 묶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사업비 분담 불가’ 카드를 꺼내 들며 배수진을 설치, 갈등의 골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8일 도에 따르면 서울은 ‘서울 용산~고양 삼송 간 신분당선 서북부연장노선’의 계획 및 예비타당성 조사를 국토교통부에 요청, 지난해 8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용산에서 삼송에 이르는 18.47㎞ 구간의 수도권 간선 급행철도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노선 중에는 3.3㎞가 고양 지축지구 등 경기지역에 걸쳐 있다.
그러나 도가 국토부에 제출된 서울의 사업계획을 확인한 결과, ‘고양 지축지구 주민의 이동 편의를 위해 지축교 인근에 역사를 설치해달라’는 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 대신 서울은 지축지구로부터 도보 기준으로 670m 떨어진 곳에 역사를 배정했다. 도는 이대로 역사가 들어서면 지축지구 주민이 역사를 이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축지구는 118만 2천937㎡ 규모로 9천144가구(2만 2천877명)의 주택이 들어서며, 오는 10월부터 입주가 시작된다.
이에 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서울과 역사 위치변경을 놓고 물밑협상을 벌였지만 서울의 완고한 ‘변경 불가’ 입장에 협상 결렬 기로를 걷고 있다. 결국 도는 서울의 계획보다 450m가량 지축지구 쪽으로 이동한 역사 위치를 제안하면서 최후통첩을 보냈다.
도는 이번 제안도 서울이 거절하면 해당 사업비의 분담을 거부하기로 했다. 도는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경기지역에 걸쳐진 3.3㎞만큼의 사업비를 부담해야 한다. 3.3㎞의 사업비는 2천490억여 원이며, 국비를 제외하고 도와 고양이 부담할 금액은 880억 원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도는 관련 내용을 중앙부처에 알리며 대내외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서울이 사전 협의 없이 역사 위치를 결정해 서울 은평뉴타운과 고양 지축지구 주민이 함께 편의를 나누는 상생이 깨지게 됐다”며 “경기도가 해당 구간에 대한 사업비를 부담하는 만큼 사업계획에 도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역사 위치는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도출된 것이다. 위치를 변경하면 은평지구 주민도 강하게 반발할 것”이라며 “역사 위치는 변경할 수 없다. 노선 자체 유동성을 놓고 경기도, 고양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