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해수부·LH·인천항만공사 ‘미래비전’ 선포… 우려의 시선
인천항 주요 주체 산업계 배제 남북교역 허브 역할 충분 지적
인천지역 경제계와 항만업계가 9일 발표된 ‘인천 내항 일대 미래비전’이 관련업계 의견을 배제한 졸속 행정이라며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
인천시, 해양수산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항만공사 등 4개 기관은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항 일대 마스터플랜’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이날 ‘인천 내항 일원 미래비전’을 선포했다.
하지만, 인천상의와 항만 등 지역 경제계는 인천 내항 일대 미래비전이 인천항의 주요 주체인 산업계 의견을 배제한체 추진된 졸속 행정이라고 반발했다.
인천상의는 ‘인천 내항 일원 마스터플랜에 대한 경제계 입장’이란 성명을 통해 내항은 우리나라 산업 근대화의 거점으로 인천 경제는 내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고, 현재도 내항 인근에는 지역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체들이 다수 소재하고 있다.
또, 내항이 과거보다 물동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항만으로의 충분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고 최근 정부에 건의한 중고자동차 수출에 따른 물동량 추가 창출은 물론 다가오는 남북 경제협력 시대에서 남북교역의 중심 항만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내항의 기능이 사라지면 내항을 통해 원자재와 제품을 수출입하는 인근 산업체는 존폐를 걱정해야하고, 이들 산업체가 무너지면 지역 경제도 심대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환 황해권 해양관광 중심지 육성’이라는 비전하에 오늘 발표된 ‘인천항 일원 마스터플랜’은 사실상 내항의 항만기능을 없애겠다는 내용이나 다름없다”며 “인천 내항을 유지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비전을 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항만 업계도 시의 발표에 불만을 감추지 않았다.
김종식 인천항만물류협회장은 “내항에 중고차 수출단지와 안정적인 운영 체계가 구축된다면 현재 27만대 수준의 중고차 수출 물량을 50만대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며 “우리나라 산업의 역사가 온전히 살아있고, 막대한 국가 예산과 자원을 투입해 건설한 내항을 관련업계와 협의 없이 기능을 없애는 방향으로 일방 발표한 것은 매우 당혹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또 항운노조 관계자는 “시와 해수부가 추진하는 좋은 정책이라도 최소한 내항에서 생계를 꾸려온 노동자들을 위한 배려는 있어야 했다”며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는 그대로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상의와 인천항발전협의회는 최근 내항 4부두에 중고자동차 수출 단지 조성이 시급하다는 내용을 담은 건의서를 인천시에 제출했다.
허현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