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 평균연령이 처음으로 42세를 넘어섰다.
14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한국 주민등록 인구는 5천182만 6천59명으로 집계됐다. 총인구는 2017년보다 4만 7천515명, 0.09% 늘어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통계 공표를 시작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인구 증가율이 0.1% 이하를 기록한 것이다. 인구 증가율은 2009년 0.47%에서 2010년 1.49%로 오른 뒤 매년 하락 추세를 보이다 2017년 0.16%로 당시 최저치를 찍은 다음 이번에 기록을 경신했다.
전년과 비교할 때 40대 이하 연령대는 대부분 인구가 감소했고 50대 이상은 늘어났다. 특히 0∼9세 인구(430만 3천62명)는 인구가 가장 많은 연령대인 50대(861만 5천884명)의 49.94%에 그쳐 처음으로 절반 이하를 기록했다.
평균연령은 42.1세로 2008년 이 통계 공표 시작 이래 처음 42세를 넘었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2만 8천610명으로 총인구의 12.8%를 차지했고 2017년 678만 5천965명과 비교해 15만 7천355명 감소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65만 408명으로 전체의 14.8%에 달했고 2017년과 비교하면 735만 6천106명에서 29만 4천302명 증가했다. 고령 인구는 유소년보다 102만 1천798명 많아 격차가 100만 이상으로 벌어졌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천204만 2천947세대로 2017년보다 1.9% 늘어났다. 세대당 평균 인구는 2017년 2.39명, 지난해 2.35명으로 기록됐다. 시ㆍ도별 인구를 보면 경기(20만 3천258명)를 비롯해 6개 시도가 증가했다.
시ㆍ군ㆍ구 중 순 유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화성으로 6만 2천609명 늘어났다. 순 유출은 안산에서 1만 8천627명으로 가장 많았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