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식품의 베트남ㆍ태국 등 신남방 지역 수출실적이 급격한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22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의 신남방지역 수출액은 2억 6천만 달러로, 전년도(2017년) 1억 8천만 달러 대비 39% 증가해 중국에 이어 제2의 경기도 농식품 수출시장으로 부상했다. 도는 지난 2017년 사드(THAAD) 보복 영향으로 경기도 최대 농식품 수출지역인 중국에서 롯데마트, 이마트 등 대형유통망 철수로 수출이 급감하자 아세안 지역 등으로의 수출 노선 다변화 전략이 통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현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베트남에서의 ‘박항서 매직’, 한국드라마, 케이팝(K-POP) 등 한류 열풍도 이 같은 성공에 일조했다는 평가다. 앞서 도는 지난해 말 베트남 최대 한국농식품유통기업 및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관계자를 초청, 도내 수출 생산자 대상으로 신남방지역 진출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도는 이 행사에 도내 25개 업체와 1대 1 수출상담회를 진행해 73건 433만 7천 달러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렸다.
이밖에 정치적 영향(사드) 감소에 따라 중국 수출이 2억 9천만 달러 수준으로 회복됐고, 미국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2억 5천만 달러로 늘어났다. 반면, 일본은 화훼류 수출경쟁력 약화 등으로 정체됐다. 품목별로는 2017년 대비 배(49%), 토마토(28%), 닭고기(138%), 라면(30%)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최대 수출품목인 김은 주변국의 김 작황 회복 영향으로 9% 감소했다.
도는 올해에도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마케팅 8억 원, 수출농업기반 조성을 위한 신선농산물 수출단지 등 인프라 구축에 85억 8천만 원을 투자한다.
한편 지난해 도 농식품 수출은 이상고온, 세계 경제불황 등 어려운 국내외 여건에도 전년 대비 5% 증가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