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캐년 추락, '나랏돈' 지원할 경우 어느 정도 수준?

그랜드 캐년 추락 사고가 담긴 영상 일부 장면. 유튜브
그랜드 캐년 추락 사고가 담긴 영상 일부 장면. 유튜브

미국 애리조나주 그랜드캐년에서 추락 사고를 당한 20대 한국 청년이 거액의 치료비로 귀국길이 막히면서 논란이 일자 정부의 재외국민 재난 시 대응 메뉴얼 역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그랜드캐년 추락 사고처럼 재외국민이 사고를 당할 경우 대통령 훈령인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지침에는 △재외국민보호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재외국민보호 위기 대응 실무매뉴얼 △재외국민보호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등이 있다.

통상 사고가 발생하면 외교부는 외교부는 재외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대책본부 설치 및 현지 공관과의 공조를 우선 고려한다. 현지에 직원을 급파해 재외국민 안전 확보에 열을 올린다.

특히 지난해 5월 문을 연 해외안전지킴이센터는 365일 24시간 대응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긴급구난활동비 사용지침 △해외 대형 사건·사고 발생 시 전세기 등 운용 지침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번 그랜드캐년 추락 사고에 이런 지침들을 적용할 수 있을지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

박모(25)씨는 지난해 말 캐나다 유학을 마치고 관광차 그랜드캐년을 방문했다가 추락 사고를 당했다. 현재까지 치료비만 약 10억, 귀국하는 데만 2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 측은 비용 해결에 난항을 겪자 관광회사와 배상 책임 등을 놓고 법적 공방을 벌이는 한편,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호소하기도 했지만 여론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