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에도 자녀부양 60%…은퇴부부 한달 적정 생활비는 327만 원“

40ㆍ50대 10명 중 6명이 은퇴 후에도 자녀부양 부담을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들이 생각하는 월평균 적정 생활비는 327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이 28일 발간한 ‘2018 은퇴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보험개발원이 2017년 기준 전국 6개 특별ㆍ광역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40ㆍ50대의 56.6%가 은퇴 후 자녀부양 부담이 예상된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예상하는 은퇴 후 자녀 1인당 부양 부담은 교육비는 평균 7천258만 원, 결혼비 평균 1억 3천952만 원으로 이를 합치면 자녀 1인당 교육과 결혼에 대략 2억 원이 넘는 셈이다. 보고서는 “자녀가 더 있을 경우 지출 비용은 더 클 것”이라며 “자녀부양 부담은 노후준비에 가장 큰 부담 요소”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보고서가 인용한 국민연금연구원 패널조사를 보면 ‘은퇴 시점에서 배우자가 돈을 벌지 않았다’는 응답자는 3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자녀가 미혼 상태였다’(34%), ‘미취업 상태였다’ 22%로 나타났다. 이는 은퇴 후에도 가족 부양 부담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퇴 후 최소생활비 예상금액은 부부기준 월 265만 원이며 개인기준 158만 원으로 조사됐다. 적정생활비는 월 327만 원(부부 기준)ㆍ194만 원(개인 기준)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은퇴 후 소득으로 은퇴 전 소득의 64.3%를 바라지만, 실제로 은퇴 후 소득은 48.1%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희망소득과 실제 소득에 16%포인트의 격차가 있는 셈이다.

보고서는 “희망소득과 실제 소득의 격차를 메우고 최소한의 노후생활이 아닌 적정한 노후생활을 보내려면 차액만큼의 노후소득을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0ㆍ50대의 노후준비 방법은 1순위가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남성 71.7%, 여성 57.4%)이었고, 예ㆍ적금과 저축성보험이 2순위(남성 11.5%, 여성 20.6%), 사적연금이 3순위(남성 8.4%, 여성 13.7%)였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