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금융이해력 낮아…금융교육 절실

국민 금융이해력 점수 62.2점, OECD 평균(64.9점) 하회

▲ cats-crop

우리 국민들의 금융이해력 정도가 OECD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금융행위 및 금융태도는 국내 평균을 밑돌았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만 18세 이상 79세 이하의 성인 2천400명을 대상으로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도 우리나라 성인(만 18~79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OECD 평균(2015년, 64.9점)보다 다소 낮았다.

30대가 64.9점으로 가장 높으며 18~29세(20대)를 제외하면 나이가 많을수록 금융이해력 점수는 낮아졌다.

전반적인 금융이해력 수준은 남녀가 비슷하나, 남자는 금융지식 점수가, 여자는 금융태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금융이해력도 높았다. 월소득 420만 원(연 5천만 원) 이상 계층은 65.6점으로 높지만 월 250만 원(연 3천만원) 미만 계층은 58.0점으로 낮았다.

금융지식 점수는 65.7점으로 OECD 평균(2015년 69.1점) 보다 저조했다. 금융지식은 소비자가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를 비교하고 적절한 정보에 입각한 금융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기본지식을 말한다.

항목별로는 ‘이자 개념의 이해’(89.6점), ‘위험과 수익 관계’(79.9점), ‘인플레이션의 의미’(76.9점), ‘분산투자 개념’(64.7점), ‘단리 계산’(62.6점), ‘인플레이션과 구매력’(60.5점) 점수는 모두 60점을 상회했다.

금융지식 최소목표점수(5점 이상/7점 만점) 달성비중은 58.3%이다. 재무목표가 있는 사람의 금융지식 최소목표점수 달성비중은 69.7%로 재무목표가 없는 사람의 달성비중(50.7%)을 크게 웃돌았다.

금융행위점수는 59.9점으로 OECD 평균(2015년 61.3점)보다 낮았다. 금융행위란 재무계획과 관리, 정보에 입각한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과 관련해 소비자가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연령대별로는 60~70대 노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각각 59.6점, 54.2점으로 전체 평균(62.2점)을 하회했다.

청년층(20대)의 금융행위 및 금융태도는 각각 58.4점, 57.7점으로 전체 평균(각각 59.9점, 61.3점)을 밑돌았다.

소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금융태도 점수는 61.3점으로 OECD 평균(2015년 65.6점)을 하회했다.

금융당국은 한국은행, KDI 등 국내 경제교육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경제·금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