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일자리 정책마켓 추진

경기도가 지역의 우수한 일자리 사업을 구입, 도내 전 방위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자리 정책마켓’ 사업을 올해 첫 추진한다. 이는 일자리 정책의 효율적 수행과 극대화를 위한 도의 ‘일자리 행정 혁신’의 일환이다.

31일 도에 따르면 ‘일자리 정책마켓’은 도내 시ㆍ군 및 공공기관이 발굴한 일자리 사업 중 확산 필요성과 효과가 높은 정책을 도가 구매(도비지원)해 시ㆍ군에 확산하는 방식으로, 민선 7기에서 처음 시도하는 사업이다. 기존에는 도가 만든 일자리 프로그램을 시ㆍ군에 재정부담 하도록 하는 하향식 방식을 주로 취해왔었다면, ‘일자리 정책마켓’은 지자체가 중심이 돼 도가 사업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수평적 협치 행정’을 추진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시ㆍ군 발굴 사업 20억 원, 공공기관 발굴 사업 5억 원 등 총 25억 원의 사업비를 ‘일자리 정책마켓’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 중 시ㆍ군 발굴 사업에 대해서는 총 6~8개 사업을 구매해 사업 당 최대 3억 원까지 지원하고, 공공기관 발굴 사업은 2개 사업 내외에서 사업 당 3억 원 이내로 지원한다. 도비 매칭 비율은 시ㆍ군 발굴사업에 한해 1년차에는 100%, 2년차에는 70%, 3년차에는 50% 등으로 조정해 지원한다.

도는 2월부터 31개 시ㆍ군과 도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 공모를 추진할 방침이다. 대상 사업은 시군ㆍ공공기관별로 서로 다른 일자리 환경과 분야별ㆍ계층별 일자리 수요를 반영해 스스로 발굴한 일자리 사업이다. 특히 기본질서 확립 등 공정사회 구현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공익적ㆍ공공일자리 사업 발굴에 주력한다.

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민선 7기 경제정책 방향인 ‘혁신경제가 넘치는 공정한 경기도’ 실현의 일환”이라며 “일자리 행정의 혁신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신뢰 있는 일자리 사업 추진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