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한반도로 가는 ‘경협 꽃길’ 경기도가 이끈다] 경기북부 한반도 ‘新경제지도 중심지’ 육성

통일경제특구·옥류관 유치 전 분야에 걸쳐 ‘물살’ 튼다

지난해 급물살을 탄 남북 화해 분위기가 2019년에도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접경지역이 있는 경기도는 남북 교류의 최일선인 만큼 다양한 남북 협력사업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평화경제특구 조성, 옥류관 유치, 인도적 차원의 교류협력 등 경기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대북관련 사업 방향 등을 분석해 본다.

■ 통일경제특구 어디까지 왔나 

문재인 대통령은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 간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자유롭게 오가며 하나의 경제공동체를 이루는 것이 진정한 광복이며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가 정착되면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것”이라며 남북 간 경제협력의 의지를 밝혔다.

경기도는 민선 7기에 경기북부를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중심지로 육성해 세계평화를 위한 교류의 장으로 조성한다는 공약을 제시했고 이를 위해 통일경제특구 지정, 경의선 및 경원선 연결사업 지원 등을 추진한다. 

파주·고양·연천·동두천 등 경기도 북부 접경지역에 최소 330만 ㎡(100만 평) 이상 규모로 예상하는 특구조성은 약 9조 원의 생산유발과 7만 명의 취업을 유발해 (GRI 경기연구원 연구 2015) 남북경제공동체의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오는 2020년 통일 경제특구 유치 신청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 경기도, 지자체 남북교류의 첫 문을 열다 

올해 경기도 남북 교류 사업은 지난해 이화영 평화부지사가 방북해 공동 추진하기로 한 6개 항이 중점 목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4선언 기념행사를 위해 평양을 방문한 이화영 부지사는 지난해 10월 7일 기자회견을 열고 남북이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한 6개 항을 도민들에게 발표했다.

‘아시아-태평양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국제대회’ 개최와 문화·예술·체육교류 협력사업, 농림복합사업, 인도주의 사업으로 결핵예방사업 및 북측의 옥류관 경기도 유치를 합의해 양 지역 주민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할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남북교류협력 합의사업 실무 회의를 열고 6개 합의분야 23개의 추진 사업 목록을 선정했다. 

이 부지사는 “접경지역에 있는 경기도가 한반도 평화에 번영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협력이 적극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19년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사업 

2019년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사업은 문화·체육, 경제, 보건복지 등 전 분야에 걸쳐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도는 문화·체육·관광 분야에서는 남북예술관 교류 공연사업을 올해 5월과 9월 파주와 평양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북 5도 지역에서 보존된 곡을 선정해 경기도립예술단의 협연을 계획하고 있다.

고려 역사박물관과 경기도 박물관 교류전도 구상하고 있다. 올해 11월께 경기도, 문화재청,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공동 주최로 북한 개성 성균관에 위치한 고려역사박물관 소장 문화재와 경기도 박물관 간 고려유물 교류전을 개최하는 것이다. 삼일절과 광복절을 맞아 남북 평화미술제도 열린다. 남측에서는 3월 1일 삼일절에 맞춰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하고 8·15 광복절에는 평양 조선미술관에서 개최해 남북 상호 문화예술 이해를 증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화 협력·경제 분야에서는 옥류관 경기도 유치의 경우 국내외 기업이 옥류관 건립 후 북측에 임대 또는 공동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대북 제재 관련 사전협의, 후보지 및 사업제안을 공모 방식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경기도, 시·군, 투자기업, 북측 대표가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글_이선호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