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연, 반도체 수요 둔화 및 가격 하락 반영
반도체업종의 경기 하강 위험이 커지자 해당 업종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작년 9월보다 40% 넘게 하향 조정한 사례가 나왔다.
5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소는 비금융 상장기업 중 반도체업종 영업이익 전망치를 지난해 9월 추정한 85조 7천억 원에서 50조 5천억 원으로 41.1% 감소시켰다.
지난해 대비 올해 3.0% 줄 것으로 내다보다 38.1% 급감할 것이라며 비관적인 전망으로 돌아섰다. 반도체업종 영업이익률은 26.5%에서 17.9%로 하향 조정했다. 연구소는 이번 전망치 수정에 반도체 수요둔화와 가격 하락세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연평균 반도체 가격은 전년 대비로 D램은 30%, 낸드플래시는 45%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하고 최근 2년간 반도체 슈퍼 호황을 견인했던 주요 정보기술(IT)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늦어지면서 반도체 수요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반도체 가격이 수익성을 확보할 수준이고 국내 기업의 생산능력도 확대돼 반도체 기업들의 이익 규모는 과거와 비교해 양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업종 전망 조정으로 올해 비금융 상장기업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157조 6천억 원으로 종전 195조 1천억 원보다 37조 5천억 원 줄어들었다. 전년보다 영업이익 증감률은 1.9%에서 -12.9%로 조정됐다.
연구소는 자동차 업종의 예상보다 늦어지는 판매량 회복 추세를 반영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종전 12조 4천억 원에서 10조 8천억 원으로 낮춰 잡았다. 영업이익률은 기존 4.4%에서 3.8%로 하향 조정했다.
연구소는 완성차는 판매량이 증가하지만, 부품 기업들은 실적 부진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완성차의 상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지만, 주요 시장인 미국과 중국의 신차 수요가 부진해 글로벌 자동차 산업 자체가 구조적으로 어려운 형국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금년 미중의 자동차 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0%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관측했다.
연구소는 나머지 대부분 업종에서도 매출 성장세가 2016∼2017년 고점에서 둔화하고 있고, 철강·화학 등의 소재 업종과 산업재는 수익성이 떨어져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이번 전망치는 12월 결산 비금융 상장기업 1천677개사의 연결재무제표를 기초로 연구소가 업종별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추정한 것이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