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제2의 강릉 펜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나선다. ‘LP가스 안전지킴이 사업’을 추진, 도민 안전과 청년 일자리 확보를 동시에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6일 도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지역 청년을 채용,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실시하는 사용시설 안전관리자 양성 교육을 이수하도록 한 후 해당 지역의 LP가스 사용시설을 점검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도는 지난해 10월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공모를 통해 이 사업을 정부에 제안했고, 행정안전부가 같은 해 12월 도의 제안을 받아들여 국비 6억 8천600만 원이 최종 확보됐다. 도는 이달 중 도의회 사전보고를 거쳐 국비를 성립 전 예산으로 편성, 3월부터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나머지 도비와 시ㆍ군비는 올 상반기 1차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총예산은 23억 원으로 이미 확보된 국비 외에 도비와 시ㆍ군비가 각 8억 1천만 원씩 투입된다.
도는 도내 청년 174명을 고용해 LP가스 사용이 많은 화성, 용인, 남양주, 파주, 김포 등 5개 시ㆍ군 내 20만여 곳의 가스 사용시설에서 안전점검을 할 방침이다. 채용되는 청년들은 2인 1조로 총 87개 조에 편성돼 4월부터 8월까지 하루 27곳을 방문, 금속 배관 여부와 용기 및 연소기 현황 등을 점검한다.
도는 사업이 마무리되는 오는 9월 종합평가를 해 효과를 검증, 미비점 등을 보완한 뒤 31개 시ㆍ군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사업이 시행되면 관련법상 점검대상에 포함되지 않거나 인력 부족 등으로 시설 점검을 받지 못했던 점검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이라며 “‘제2의 강릉 펜션 사고’와 같은 참사를 막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도내 청년들의 일자리도 창출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강원도 강릉의 한 펜션에 투숙하던 고교생 10명 중 3명이 가스보일러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지고, 7명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