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들의 교통복지 증진을 위해 운영되는 경기복지택시가 복잡한 이용절차에 발목이 잡혔다. 택시를 타려면 이용객이 직접 기사와 연락을 취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노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경기도와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도는 용인, 이천 등 8개 시ㆍ군(175개 마을)에서 680여 대의 경기복지택시를 운행 중이다. 경기복지택시는 버스 등의 노선이 적고 운행간격이 긴 교통서비스 취약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교통수단이다. 주로 농어촌 및 오지마을 등에서 제공되며, 직접 운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노약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버스 수준의 낮은 이용요금(1회 이용에 1천200여 원)만 내고 시내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3년간 이용객 수가 4배 가까이 증가할 만큼 인기가 좋다. 2015년 도입 당시 2만 7천여 명이었던 복지택시의 연간 이용자 수는 지난해 기준 11만 3천여 명까지 늘어났다.
이처럼 복지택시는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일부 이용객들은 이용절차상의 문제 등으로 불편함을 호소, 개선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8개 시ㆍ군 중 안성, 포천, 가평 등 3개 시ㆍ군의 경우 콜센터가 부재하다. 택시를 이용하려면 승객들이 개별적으로 택시기사와 연락을 취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아울러 일부 시ㆍ군에서는 복지택시를 이용하는 마을 주민들의 이용횟수와 자격을 제한하고 있어 복지택시 이용기회를 박탈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됐다. 가평의 경우 일반인은 월 10회(임산부와 법적 장애인 등은 무제한)로, 여주는 주민 1인당 1일 왕복 1회로 이용횟수를 제한하고 있다.
복지택시 운영을 위한 진입장벽도 높다. 대중교통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거나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500~1천m 격리돼야 하는 등 엄격한 선별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콜센터가 없는 시ㆍ군에 콜센터를 추가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관련 예산도 꾸준히 늘고 있는 만큼 복지택시를 증차하고 일선 시ㆍ군과 협의해 도민들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