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서울 ‘교통·미세먼지’ 머리 맞댄다

오늘 정책토론회… 광역적 도시관리 공동 대응 모색

경기도청 전경

수도권 지자체들이 12년 만에 광역도시계획을 재정립하는(본보 2018년 12월 24일자 1면) 가운데 광역교통체계, 미세먼지, 난개발 등 수도권 주요 사안에 대한 공동 대응방향이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내년 7월 광역도시계획 수립을 앞두고 정책토론회가 열리기 때문이다.

10일 경기도와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연구원 주최로 11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적 도시관리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와 대도시권 계획 발전 방향 정책토론회’가 개최된다. ‘대도시권 광역 거버넌스 구축 및 대도시권 계획 수립 방향’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는 국내 대도시권 및 광역계획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이주일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대도시권 계획의 필요성과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류형철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이 ‘도시권 인구변화와 미국 대도시권 협력사례로 본 대구ㆍ경북 도시권의 발전 방향’, 이종현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수도권광역도시계획의 수립방향과 과제’를 각각 제안한다.

토론회에서 제시된 내용을 통해 수도권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경기ㆍ인천ㆍ서울은 주변 도시들이 공간적ㆍ기능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관돼 거대 ‘광역공동체(공동 생활권)’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역교통체계, 대기질 개선, 난개발 방지 등에서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지만 수도권을 아우르는 광역 거버넌스의 부재로 사안별ㆍ개별적 대응만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수도권 3개 광역 지자체와 국토교통부는 다음 달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을 추진한다. 연구 용역은 2020년 7월께 마무리되며, 실무작업에는 경기연구원ㆍ국토연구원 등이 참여한다. 2007년 1차 수도권 광역도시계획과 달리 이번 광역도시계획은 각 지자체의 현안을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이번 토론회를 주재하는 서울연구원의 서왕진 원장은 “교통이나 주택, 환경 문제는 거버넌스를 구축해 총력전을 펼쳐야 시민들의 안정적인 삶과 미래를 보장할 수 있다”며 “이런 인식이 이번 토론회를 통해 더욱 확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