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은 경제 활성화에 있어 밑거름을 주는 토양분이다. 때문에 세계 각국은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으며, 이들의 도전적인 기업활동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각종 규제를 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적극 지원을 하고 있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현재 미국은 물론 세계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것도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벤처기업이 중심이 되어 산업생태계를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한국은 창의적인 우수한 인력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벤처기업에 대한 젊은이들의 욕망은 대단하다. 특히 IT와 같은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또한 혁신 DNA를 가진 젊은 창업가들이 많아 한국은 한때 벤처기업의 요람이라고 할 정도로 벤처 창업활동이 붐을 일기도 했다. 오늘의 네이버, 엔씨소프트와 같은 업체가 젊은이들이 부러워하는 기업으로 성장한 것도 이런 벤처기업에 대한 열망의 소산이다.
그러나 최근 벤처기업들은 정부의 규제와 반기업 정서로 인하여 창업 생태계가 죽어간다고 비판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일 청와대에서 만난 1세대 벤처기업인과 유니콘 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이런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기업가치 1조 이상이 되는 유니콘 기업인들은 주 52시간 근무제는 급성장하는 기업들에겐 오히려 경직된 규제로 기업활동에 지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외국기업이 국내에 창업하는 것에는 상당한 혜택 등이 주어지고 있으나, 오히려 국내기업들은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애로사항 등 문제점이 가감없이 벤처기업가들에 의하여 대통령에게 제기되었다.
물론 정부도 그동안 벤처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투자를 하였다. 그러나 벤처기업들이 활성화되려면 단순히 돈만 가지고 되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과감하게 규제를 풀어 벤처기업인들이 마음껏 신사업을 펼칠 수 있는 판을 깔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경기도의 경우, 판교테크노밸리 등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수많은 벤처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어 경기도가 한국 벤처기업의 중심이라고 볼 수 있다. IT, BT, CT, NT 등 각종 첨단융합기술 관련 산업들이 벤처기업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와 협력하여 벤처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해야 된다.
정부는 이번 대통령과 벤처기업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단순한 1회성 건의로 치부하지 말고 심도있게 검토, 정책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또한 벤처기업가들도 창업환경 등 정부정책만 비판하지 말고 혁신을 주도하는 창조적 자세가 필요하다. 어느 때보다 벤처기업에 대한 중앙정부, 지자체, 그리고 기업인들 간의 창업 생태계 마련을 위한 협력체제가 요구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