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DMZ에 남북 국제평화역 설치 추진

통관시간 단축·평화관광 활성화 도모… 정부에 건의

유라시아 및 남북 철도시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경기도가 DMZ 내 남북 국제평화역 설치를 추진한다. 도는 세관ㆍ출입관리ㆍ검역 등의 역할을 총괄하는 통합 거점을 통해 물류 효율 향상, 평화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도는 11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와 국토교통부 등에 남북한 통합 CIQ(세관-Customs, 출입관리-Immigration, 검역-Quarantine) 설치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의 배경은 정부의 남북철도 현대화 사업ㆍ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상에 선제 대응하고, 경기 북부를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최적지로 만든다는 이재명 도지사 의지로 전해졌다. 도는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면 독일 베를린 장벽 해체처럼 남북평화의 역사적 상징물로 각인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경의선 철도를 이용해 북측으로 이동하려면 남측 도라산역과 북측 판문역에서 2회 정차해 출입국심사를 거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 향후 철도사업 완료 후 이용객 불편이 예상된다. 이에 도는 출입국심사를 1회만 실시할 수 있도록 남북한 통합 CIQ 기능을 갖춘 역사 설치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또 이용객에게 면세점, 남북한 맛집, 특산품 매장 등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주변 DMZ 관광 상품과 연계도 추진한다.

박경철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부장은 “남북철도에 국제열차를 운영하려면 유럽, 미국, 캐나다처럼 CIQ 심사 서비스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남북 통합 CIQ 기능을 갖춘 국제평화역은 이런 측면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국제평화역은 남북 분단과 대치를 상징하는 DMZ를 ‘평화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상징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그동안 군사적 이유로 개발에서 소외된 경기 북부에도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직 도의 제안은 초기 단계라서 구체적인 로드맵은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건설 비용은 2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통합 CIQ를 통한 이동 소요 시간은 절반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