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성원 의원(동두천·연천)이 12일 ‘국립연천현충원’ 설립과 관련,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며 가속도를 내고 나섰다.
김 의원이 이날 오후 국회에서 개최한 ‘국립연천현충원, 겨레의 얼을 살리다’ 토론회에는 상이군경회, 국가보훈처, 국무조정실, 입법조사처, 학계전문가, 공무원, 연천·동두천 지역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 큰 관심을 보였다.
발제자로 나선 서주환 경희대 교수(환경조경디자인학과)는 “앞으로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은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역사성, 상징성, 교육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조성과 장례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미래상 제시를 기본방향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토론에 나선 이수덕 상이군경회 기획실장은 “국립연천현충원이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호국영령들의 편안한 안식처인 추모를 위한 성역공간으로 구성돼야 한다”며 “보훈가족이 편하게 오가면서 호국영령을 모실 수 있도록, 경원선 전철연장 및 3번 국도 도로개선사업 등의 교통인프라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성남 연천군 부군수는 “국립연천현충원은 경건함과 역사성을 확보하고, 장소특수성을 활용해 국립공원으로서의 새로운 상징과 정체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무부처인 국가보훈처의 임성현 보훈예우국장은 “최근 국립묘지 안장대상자분들의 고령화로 인해 안장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안장공백이 발생되지 않도록 국가보훈처 차원에서 조성 계획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사업을 철저하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연천현충원 건립의 기획, 근거법 마련, 예산확보 등에 큰 역할을 한 김 의원은 “최근 순국선열에 대한 예를 충분하게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이 일고 있다”면서 “국립연천현충원은 국내 최고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손꼽힐만한 추모 공간으로 조성되도록 국회에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국립연천현충원은 근거법인 ‘국립묘지법 개정안’이 지난해 12월 27일 국회 본회의를 최종 통과했고, 올해 국가보훈처 예산에 ‘국립연천현충원’ 건립 15억 1천800만 원이 반영되면서 본격화됐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