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金)자’, 감자 수매비축 제도화 발표

정부가 지난해 가격 폭등으로 ‘금(金)자’로 불린 감자 가격이 새해에도 평년보다 높자 수매 비축 제도화 등 수급 대책을 내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자 수급조절 시스템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감자는 2017년부터 작황 부진에 따른 생산 감소로 지난해 도매가격이 20㎏에 최고 13만 원까지 치솟아 평년보다 281.5%나 급등한 바 있다.

지난달 평균 도매가격 역시 20㎏에 4만 685원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15% 낮지만, 평년보다 여전히 51.5%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도매 시장에서 시세가 높은 햇가을감자와 시세가 낮은 저장감자의 출하 비율에 따라 일일 가격의 높낮이가 큰 상황이어서 출하 물량이 가장 많은 노지봄감자가 본격 출하되는 오는 6월 이전까지 평년 대비 높은 가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생산·유통 단계 조직화, 인프라 확충, 비축 제도 운용, 민간 보유물량 활용 제도화 등을 담은 대책을 밝혔다.

우선 농식품부는 생산자 단체를 중심으로 생산·유통 단계를 조직화하도록 계약 단계부터 선별·저장·출하까지 생산·유통 전 과정에 필요한 자금·시설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 노지채소수급안정사업 대상을 고랭지감자 위주에서 올해부터는 노지봄감자, 가을감자, 시설감자 등으로 확대해 계약재배를 활성화한다.

여기에 강원 등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감자 주산지협의체’를 구성·운영해 산지 조직화를 유도한다. 현재 무·배추·고추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채소가격안정제 대상 품목에 감자를 시범적으로 추가해 수급 안정 기반도 확대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감자 등 밭 식량 작물에도 ‘들녘경영체육성사업’에 따른 지원을 제공해 감자 생산·유통에 필요한 장비·시설을 지원하고 정부 수매 사전 계약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고랭지 씨감자를 우선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농식품부는 지난해 700t 규모로 시범 운영한 감자 수매비축제를 상시 제도화해 올해 4천t을 수매하고 연차적으로 물량을 확대한다.

이밖에 올해부터 농협을 통해 사전 계약재배를 희망하는 생산자 단체를 선정, 파종기 이전에 수매 약정을 맺을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공급 물량 부족에 대비해 5천t 수입 물량을 운용할 것”이라며 “올해 초 우선 미국산과 호주산 2천t을 도입하고 추후 수급 상황에 따라 추가 물량 운용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