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대부분 보합 내지 하락
서울 아파트값이 14주 연속 하락했다. 2013년 주택 침체기 이후 처음이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11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8%) 대비 0.07% 내려 지난해 11월 셋째 주부터 14주 연속 하락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앞서 주택거래가 극도로 침체했던 2013년 5월 넷째 주부터 8월 넷째 주까지 14주 연속 떨어진 이래 최장기간의 하락이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인상, 공시가격 인상 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아파트값 약세도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설 연휴로 인해 낙폭은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감소했다.
강남 4구 아파트값이 지난주 -0.16%에서 이번주에는 -0.13%로 하락폭이 다소 줄었다.
반면 양천(-0.21%)·마포(-0.18%)·용산(-0.15%)·중구(-0.11%) 등지는 지난주보다 낙폭이 커졌다.
금천·영등포·동대문구 등은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전국의 아파트값은 0.07% 하락하며 지난주(-0.06%)보다 내림폭이 커졌다.
경기도는 방학 이사수요, 신도시 개발 등의 재료로 남양주시(0.03%) 등이 일부 상승했으나 성남시 수정구(-0.32%)와 하남(-0.22%)·광명시(-0.22%) 등 대다수 지역은 보합 내지 하락했다.
전세시장도 약세가 계속되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11% 하락해 지난주(-0.08%)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지방의 전셋값이 0.10%, 지방 5대 광역시가 각각 0.06% 하락하며 지난주보다 내림폭이 확대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0.17% 하락해 지난주(-0.18%)보다 낙폭은 다소 줄었으나 새 아파트 입주 영향 등으로 16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