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따뜻한 날씨 덕분에 이번 겨울 동안 경기지역 한랭질환자가 전년 대비 3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수의 고령자 환자와 실내 발생 요인도 발견,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한랭질환자는 78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22명) 대비 36%가 줄어든 수치다. 저체온증이 63명으로 전체의 80.8%를 차지했으며 동상 11명(14.1%), 동창 3명(3.8%), 기타 1명(1.3%)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34명(43.5%)으로 가장 많았으며, 발생 장소별로는 실외가 59명(75.3%), 실내가 19명(24.3%)을 차지했다. 난방시설이 없는 집안 등 실내에서도 적지 않은 한랭질환자가 발생한 것이다.
발생 시간대별로는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전체의 절반이 넘는 42명(53.8%)이 발생, 난방되지 않는 추운 곳에서 잠을 자다가 한랭질환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환자 성별은 남성이 57명(73%), 여성이 21명(27%)으로 조사됐다. 도는 지난해 겨울보다 올겨울이 덜 추워 한랭질환자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극심한 추위는 어느 정도 지나갔지만, 여전히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크고 꽃샘추위 등도 남아 있는 만큼 한랭질환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이달 말까지 도내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89개소가 참여, 한랭질환자 접수 즉시 도와 질병관리본부 등에 보고되는 ‘한랭질환 응급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