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이달 총회 열어 최종 확정”
평행선을 달리던 인천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방안 협상이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인천시에 따르면 그동안 협상의 최대 쟁점이었던 업체의 고정비 반납과 수입금 공동관리위원장 업체 대표 배제를 두고 지난 11일과 12일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과 막판 협상을 벌였다. 시와 조합은 2일간의 협상 과정에서 고정비 반납에 대해 큰 틀에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시는 차량유지비와 정비비 등 고정비에서 남은 금액 약 52억원의 25% 반납을 요구했다. 고정비는 준공영제 예산 지원 규모를 결정하는 표준운송원가의 산정 기준이다.
하지만, 조합은 고정비에서 남은 금액이 회사 운영을 위한 다른 부분(버스 구매 할부 이자 등)에 투입된다며 반납을 거부했다.
이에 시는 고정비가 전용되는 부분도 표준운송원가 산정 시 반영할 수 있도록 별도 항목을 신설할 계획이다. 표준운송원가 산정 기준을 세분화해 고정비가 전용되는 부분을 명시화하는 등 준공영제 투명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고정비 전용 부분에 대한 별도 항목 신설이 이뤄지면 조합은 해당 금액을 시에 반납하지 않아도 된다.
현재 표준운송원가 산정 항목은 인건비, 복리후생비, 연료비, 정비비 등 11개로 구성된다.
고정비 반납에서 협상의 실마리가 풀리면서 수입금 공동관리위원장 업체 대표 배제도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시가 고정비 반납 부분에서 일부 양보하면서 조합이 수입금 공동관리위원장 몫에 대해 양보하는 식의 맞교환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와 조합은 고정비가 전용되는 항목을 구체화하는 등 세부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당초 협상 마감 시한인 15일을 이달 말까지 연장해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조합은 총회를 다시 열어 시의 개선안을 업체에 설명하고 최종 입장을 확정할 방침이다.
조합 관계자는 “현재 시에서 협상 기한을 연장해 준 상황”이라며 “준공영제 개선 방안에 대해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이달 말에 총회를 열어 최종 방침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2일간의 협상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던 부분을 많이 풀었다”며 “아직 입장이 대립하는 쟁점도 있지만 2월 안에는 합의를 마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