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실업자 수가 1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17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장기실업자’는 지난달 15만 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8천 명 늘었다. 1월 기준 장기실업자는 2000년에 16만 7천 명을 기록한 이후 최근 19년 새 가장 많았다. 고용상황은 월ㆍ계절에 따른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같은 달끼리 비교해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장기실업자가 늘었다는 것은 일자리 자체가 줄어든 것도 원인이지만 취업희망자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문제는 구직활동을 반복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이들이 장기실업자가 되고 이들 중 다수는 일자리 구하기 자체를 포기하는 ‘구직단념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달 구직 단념자는 60만 5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 2천 명 늘었다. 이는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집계를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달 장기실업자 규모를 고려하면 구직 단념자가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새로 실업자가 된 이들도 갑자기 늘었다. 지난달 구직기간이 3개월 미만인 이른바 ‘신규실업자’는 77만 6천 명으로 작년 1월보다 17만 3천 명 증가했다. 이는 2010년 2월(26만 명 증가) 이후 8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수치다.
정부는 그동안 노인 일자리 사업 등 정부 정책으로 인해 실업자 집계에서 제외됐던 ‘비경제활동인구’가 새로 구직을 시도해 실업자로 잡힌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지난달 60세 이상 실업자가 1년 전과 비교해 13만 9천 명 증가한 점이 그 방증이다.
구직활동을 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실업자 상태를 거쳐 취업자로 전환하기 때문에 실업자 증가를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실업 관련 지표가 계속 나빠지는 것은 고용 시장의 질적ㆍ양적 악화를 뜻하는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실상 실업 상태와 다를 바 없지만, 개념상 실업자에 포함이 안 됐던 이들이 드러난 것이고 그만큼 어려운 계층”이라며 “전체적인 노동시장 사정은 악화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