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정월대보름 오곡밥 먹는 날…"이렇게 하면 실패 없다"

정월대보름 음식. 경기일보DB
정월대보름 음식. 경기일보DB

19일 정월대보름을 하루 앞두고 오곡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오곡밥은 보통 찹쌀과 차조, 찰수수, 찰기장, 붉은 팥, 검은 콩을 넣어 짓는다. 다양한 색이 어우러져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색깔별로 갖는 건강기능성도 다양하다.

하얀 찹쌀은 성질이 따뜻해 소화가 잘 된다. 노란 조와 기장에는 베타카로틴과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다.

붉은 팥과 검은 콩은 눈을 건강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억제하는 안토시아닌이 많이 들어 있다. 갈색 수수에는 폴리페놀 함량이 많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혈당을 조절한다.

오곡밥을 맛있게 짓기 위해서는 팥은 미리 한 번 삶고, 알갱이가 작은 차조는 뜸 들일 때 넣으면 된다. 쌀과 잡곡의 비율은 6대 4가 적당하다.

<오곡밥 레시피>

재료: 찹쌀 200g, 멥쌀 100g, 팥 50g, 수수 50g, 차조 50g 검은콩 50g, 소금

1. 찹쌀, 멥쌀, 수수, 차조는 1시간 정도 불린 후 건져놓고, 콩은 3시간가량 불려 씻어놓는다.

2. 팥은 씻어서 충분히 잠길 정도의 물을 부어 불에 올린다. 끓어오르면 물은 따라 버리고 다시 3컵의 물을 부어 팥알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 삶아 건진다. 팥물은 따로 받아둔다.

3. 맵쌀, 찹쌀, 삶은 팥과 불린 콩, 수수를 합해 전체 중량의 약 1%(7~9g)의 소금을 넣어 잘 섞은 다음 팥물을 부어 끓인다.

4. 밥이 끓어오르면 위에 차조를 얹고 불을 중불로 줄인다.

5. 쌀알이 익어 퍼지면 불을 아주 약하게 해 뜸을 들인 다음 위아래를 잘 섞어 밥그릇에 담아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