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 내 주요 과실 생산량이 전년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초봄 이상 저온과 여름 폭염, 가을 폭우 등 지속된 자연재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통계청에서 직접 조사하고 있는 사과ㆍ배를 제외한 나머지 과실의 지난해 도내 총생산량은 5만 1천192t이다. 이는 2017년 총 과실 생산량(사과·배 제외) 6만 1천936t보다 17.3%(1만 744t) 감소한 규모다.
먼저 품목별 생산량은 시설 포도 3.3%, 노지 포도 18.7%, 복숭아 22.0%, 머루 31.6%, 매실 55.1%, 오디 89.1% 줄어 들었다. 이에 따라 사과와 배 생산량도 전년보다 많이 감소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재배 면적은 오히려 크게 늘어났다. 사과와 배를 제외한 도내 과실 재배 면적은 2017년 4천509㏊에서 지난해 4천765㏊로 5.7%(257㏊) 증가했다. 이같이 재배 면적ㆍ농가의 증가에도 과실 생산량이 많이 준 것은 지난해 초봄 이상 저온, 40여 일 계속된 여름 폭염, 과실 수확기를 앞둔 시기의 잦은 폭우 등 때문으로 도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4월 이상 저온으로 과수 재배 면적의 17%인 1천300㏊의 과수가 꽃이 떨어지거나 흑색으로 변했다. 또 7월 중순 이후 계속된 폭염으로 포도 등 많은 과수가 햇빛 데임 피해를 봤다. 이에 노지 포도의 10a당 생산량은 2017년 1천505㎏에서 지난해 1천424㎏, 시설 포도는 2천37㎏에서 1천850㎏으로, 매실은 851㎏에서 416㎏ 등으로 감소했다.
도 관계자는 “기온 변화로 갈수록 도내 열대 과일 생산이 늘고 기존 과일이 주는 양상을 보였다”면서 “하지만 지난해는 자연재해 탓에 과일 생산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