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발표를 앞둔 120조 원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와 관련, 경기도 유치를 강하게 주장했다. 이 지사는 수도권 역차별을 우려하면서 경제 논리에 따라 유치를 결정, 국가 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균형발전 때문에 수도권이 역차별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곳, 제일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곳, 조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곳에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지사는 “실사구시적 입장에서 정치논리가 아닌 경제논리로 판단되고 결정돼야 한다”며 “경기도는 기존 반도체의 장점을 결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중심기지’ 건설을 위해 지난해부터 정부에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건의했고 그 결과 올해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기업 활동을 위해 그들에게 꼭 필요한 지역이 있는데, 그곳을 정치적 논리로 억제하면 (기업은) 지방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해외로 탈출한다”며 “규제는 행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인데, 수단을 위해 목적을 희생하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도가 준비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핵심 내용으로 ▲대중소기업 상생 클러스터 조성 ▲스타트업 및 전문 인재 육성 ▲지역사회 복지 향상 ▲복합 스마트시티 조성 등 4가지를 소개했다.
끝으로 이 지사는 용인과 이천 중 어느 곳이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지역으로 적합하냐는 질문에 “(어느 곳이 낫다고) 발언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말을 아꼈다.
한편 10년간 120조 원이 투입되는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부지에 대해 정부는 다음 달께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