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물량 폭탄에 2월 도내 입주경기 지속 약세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 속에 이달 수도권 입주 물량이 집중되면서 도내 입주여건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도내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전망치는 78.5로 전달보다 4.0포인트 올라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여전히 기준선(100)에는 크게 밑돌아 입주경기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했다.

HOSI는 공급자 입장에서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주 중인 단지의 입주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치로 그 이상이면 입주 여건이 양호하다는 것을, 그 미만이면 입주 여건이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달 전국 전망치는 71.3으로 전달보다 7.3포인트 올라 5개월 만에 겨우 70선을 회복했다. 서울은 전국 17개 시ㆍ도 중 유일하게 전월 대비 전망치가 하락하며 처음으로 70선으로 내려앉았다.

연구원은 정부 규제 강화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입주폭탄이 예고되면서 입주여건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달 전국 입주예정물량 4만 5천230가구 중 수도권에 60%인 2만 6천901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기업 규모별 HOSI 전망치는 대형업체 71.5, 중견업체 70.9로 대형업체는 전월보다 7.0포인트, 중견업체는 8.3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월 입주율은 72.1%로 2017년 6월 조사 이래 가장 낮았다. 수도권(83.7%)은 80% 선으로 비교적 양호했지만, 지방(69.6%)은 처음으로 70% 선이 무너졌다.

주요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 주택매각 지연’ 37.0%, ‘세입자 미확보’ 24.7%, ‘잔금대출 미확보’ 23.3% 등의 순이다. 전셋값 하락과 정부 규제 강화 등 영향으로 ‘기존 주택매각 지연’의 응답 비중이 지난달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연구원은 “화성과 시흥, 고양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입주예정물량이 집중됨에 따라 해당 지역에 입주를 앞둔 사업자는 시장 모니터링과 입주 지원시스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