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형 복지 플랫폼’ 활짝 市·시민 ‘소통·정책의 가교’
공감복지 중장기 계획·복지기준선 연구
인천硏과 체계적 관련정책 기반 마련
인천복지재단 출범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인천형’ 복지 확충이 가능해 지면서 시민의 복지 만족도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복지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복지 수요자인 시민과 공급자인 인천시가 원활히 소통하고,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교량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복지재단의 주요 사업은 총 3개 분야, 10여개 정책이다.
우선 정책 연구 분야에서 ‘인천형’ 복지를 위한 연구·조사·분석을 진행한다.
공감복지 중장기 발전계획과 인천 시민복지기준선, 지역 내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 등을 연구한다.
복지재단은 인천연구원과 함께 체계적인 복지 정책 기반을 마련한다.
또 인력 부재로 시행하지 못했던 사회복지시설 등에 대한 평가·인증·컨설팅도 진행한다.
복지 시설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재단은 공공사회 서비스 품질 개선 매뉴얼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 내 공공 서비스 품질도 개선해 나간다.
이와 함께 찾아가는 읍·면·동 지역사회보장서비스 기능 강화와 복지 정책에 대한 시민 홍보도 추진한다.
읍면동 사회보장서비스는 노약·취약계층 등에 행정이 직접 찾아가는 복지로 앞으로 크게 확대될 사업이다.
복지 재단은 찾아가는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교육 프로그램과 체계적인 서비스 매뉴얼 마련에도 나선다.
또 인천시가 추진하는 복지 사업을 시민이 체감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정책을 교육·홍보하는 시스템도 갖춰나간다.
복지재단 관계자는 “시민의 복지 수요를 수렴하는 연구 기관으로서 역할을 통해 시의 ‘인천형’ 복지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