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집단 보유 자산 첫 2천조원 돌파, 삼성 압도적 1위 자리 유지 속 현대차 2위

국내 대기업집단의 보유 자산이 처음으로 2천조 원을 넘어섰다.

삼성이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유지한 가운데 SK그룹이 반도체 특수 등에 힘입어 현대차그룹의 2위 자리를 넘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60개 대기업집단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공정자산 현황을 파악한 결과 총 2천48조 3천5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말(1천966조 7천100억 원)보다 81조 6천450억 원(4.2%)이나 늘어난 수치다. 계열사 숫자는 2천83개에서 2천57개로 다소 줄었지만, 자산은 오히려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삼성이 자산 418조 2천170억 원으로, 처음 400조 원을 넘어서며 선두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이는 지난 2017년 정부 예산(400조 7천억 원)을 압도하는 수치다.

현대차와 SK가 각각 220조 5천980억 원과 213조 2050억 원으로, 나란히 200조 원대를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지난해 실적 부진에 시달린 현대차의 자산이 2조 560억 원 줄어든 반면 SK는 반도체 계열사인 SK하이닉스의 실적 신기록 등에 힘입어 무려 23조 6천740억 원이나 증가하면서 두 그룹 간 격차가 7조 원대로 좁혀졌다.

이밖에 LG(130조 3천20억 원)와 롯데(117조 950억 원), 포스코(82조 7천590억 원), 한화(65조 4천480억 원), GS(65조 3천390억 원), 농협(59조 4천330억 원), 현대중공업(55조 8천660억 원) 등이 10대 그룹 반열에 들었다.

공정위가 지난해 5월 초 발표한 재계 순위와 비교하면 한화가 GS를 제치고 7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경우 현재 10위에서 7위까지 올라설 것으로 전망됐다.

자산 증가액은 SK와 삼성이 각각 23조 6천740억 원과 18조 7천380억 원으로, 1·2위를 차지했다. 두 그룹의 자산 증가액 합계는 60대 그룹 전체 증가액의 절반 이상인 51.9%에 달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