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조성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인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지난 20일 용인시에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21일 알려졌다.
이로써 SK하이닉스와 국내외 50개 이상 협력업체가 참여하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이번에 SPC가 신청한 부지는 용인시 원삼면 일대로 약 448만㎡(약 135만평) 규모이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용인 부지는 국내외 우수 인재들이 선호하는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국내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중소기업 협력 생태계 조성이 용이하며 반도체 기업 사업장(이천, 청주, 기흥, 화성, 평택 등)과의 연계성이 높고 전력/용수/도로 등 인프라 구축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용인으로 부지가 확정되면 SK하이닉스는 공장부지 조성이 완료되는 2022년 이후 120조원 규모를 투자해 반도체 팹(FAB) 4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더불어 국내외 50개 이상 장비/소재/부품 협력업체도 이 단지에 입주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회원사 244개사 중 약 85%가 서울 및 경기권에 위치하고 있어 용인에 신규부지가 조성된다면 실시간 유기적 협력관계가 가능해 진다.
SK하이닉스는 이들 국내외 협력업체와의 시너지 창출 및 생태계 강화를 위해 10년간 총 1조 2천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구체적으로는 상생펀드 조성에 3천억 원,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상생협력센터 설립 및 상생프로그램 추진에 6천380억 원, 공동 R&D에 2천800억 원 등을 순차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기존 이천과 충북 청주 사업장에도 투자를 지속한다. 이천에는 M16 구축과 연구개발동 건설 등에 약 10년간 20조원 규모를 투자할 계획이며 청주에는 지난해부터 가동중인 M15의 생산능력확대를 포함해 약 10년간 35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며 특히 청주 신규 공장 건설을 위한 토지구입 양해각서(MOU)와 분양 계약을 충청북도/청주시와 다음달 체결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는 이천은 본사기능과 R&D/마더팹(Mother FAB) 및 D램 생산기지로, 청주는 낸드플래시 중심 생산기지로, 용인은 D램/차세대 메모리 생산기지 및 반도체 상생 생태계 거점으로 3각축을 구축해 중장기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이천=김정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