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클러스터’ 용인이 품다] 국내·외 50여개 협력사 10만명 이상 고용 창출

인구 유입·도시경쟁력 향상 등 기대
수도권 공장총량제 해결 최대 변수
산단 부지물량 특별 배정 요청 계획

▲ 반도체 클러스터 확정 소식에 들썩이는 용인시. 연합뉴스 제공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로 용인이 사실상 결정되면서 경기도 경제 파급 효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만 명 이상의 고용 파급효과와 세수 증대 등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마지막 관문인 수도권 공장총량제 문제를 해결,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중심기지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10만 명 고용 파급효과…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중심기지

도는 21일 출입 기자에게 문자로 보낸 짧은 입장문을 통해 “경기도는 하이닉스의 120조 원 규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투자의향서 제출’과 이천 사업장에 대한 20조 원 규모의 지속적인 투자계획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반도체 클러스터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1∼4차 협력업체 고용인력 고려시 고용 파급효과는 10만 명 이상으로 예측됐다. 직접고용 효과만 1만 7천여 명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세수 증대, 인구 유입, 도시경쟁력 향상 등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에 도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중심기지’로 자리매김하도록 지원한다. 도가 발표한 준비 사항은 대ㆍ중소기업이 함께하는 상생하는 클러스터 조성, 우수 인재 채용 프로그램, 스타트업 육성, 지역사회 주민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이다.

■표정 관리하는 용인, 희망의 끈 놓지 않는 이천

SK하이닉스가 신청한 부지인 용인시 원삼면 주민을 비롯한 용인 전체는 들뜬 분위기다. 최근 인근 땅값도 20~30%가량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문의 전화가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전 이후 20배가량 증가했다는 후문이다. 다만 아직 최종 결정된 단계가 아닌 만큼 신중함을 유지하자는 기조도 깔렸다. 용인시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의 입지가 결정된 것은 아니라서 입장을 말하기가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반면 이천시 측은 정부의 최종 발표에서 변동 사항을 기대하며 최후의 입장을 전하기로 했다. 이천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와 수도권정비계획법 철폐를 위해 이천시민이 다시 한 번 뭉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천시의회 홍헌표 의장 역시 “이러한 상황이 벌어져 난감하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의원들과 상의하겠다”고 말했다.

■최종 변수는 수도권 공장총량제 해결

다음 달 정부의 최종 발표만 남은 가운데 용인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려면 ‘수도권 공장총량제’를 해결해야 한다.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경기도 공장건축허용총량(2018~2020년)은 485만㎡로 묶여 있고, 대부분의 일반 물량은 입주계획이 이미 확정됐다. 이 때문에 수도권정비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대상으로 ‘용인일반산업단지 부지물량 특별배정’이 요청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신청 내용을 검토해 조속히 입장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정오ㆍ여승구ㆍ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