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3·1 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上. 생활속 일본말ㆍ문화
문화 3·1 운동-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3·1 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上. 생활속 일본말ㆍ문화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전국적으로 독립투사들의 노고와 이들이 투쟁한 장소를 알리는 등 적극적인 조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일제 잔재에 대한 해결방안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운요호 사건으로 빚어진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체결 직후 국내에 유입된 일제 문화가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 암약해 올바른 언어생활을 해치고 국적이 불분명한 풍습을 양산해냈다고 지적한다. 이에 본보는 약 150년 간 우리 사회에 파고들어 언어와 풍습 등 문화 깊숙히 자리잡은 생활 속 일제 잔재를 조명하고, 이를 뿌리뽑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해본다. 편집자 주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공사장 용어 중 대다수가 일본어라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대학생 박기형씨(26ㆍ평택)는 겨울 방학을 맞아 지난 두 달간 공사장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용어를 익히느라 애를 먹었다. 막일꾼을 칭하는 용어 ‘노가다’ 는 물론 기스(흠집), 공구리(콘크리트) 등의 현장 용어가 일본어에서 파생됐다는 점은 알고 있었지만 나라시(평탄화 작업), 와꾸(틀) 등은 생소했기 때문이다.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올해에도 일상 속에 남아있는 일본식 용어와 풍습이 많아 이를 타파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지난 1월 개봉한 영화 ‘말모이’에서 언어로 민족의식을 고취하려 한 선조들의 노고가 재조명돼 일제 잔재 타파 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우선 문학계에서는 소공녀, 춘희 등 과거 일본을 거쳐 수입된 외국 동화의 원제가 각각 ‘A Little Princess’(어린 공주), ‘La Dame aux camelias’(동백의 여인) 임에도 여전히 일본식 번역체 제목을 쓰고 있다. 언론계에서 쓰는 업무 용어도 일본식 표현이 남아있다. 우라가에스(뒤집다, 변경하다)에서 파생된 ‘우라까이’(기사의 내용과 핵심을 돌려 씀), 날끝(山)을 뜻하는 단어에서 생겨난 ‘야마’(기사의 핵심 내용) 등이 단적인 예다.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도 유치원은 독일어인 ‘Kindergarten’(어린이들의 정원)을 일본식 번역체로 명명한 일제 잔재로 여겨지며, 어린아이들의 놀이인 ‘쎄쎄쎄’ 도 ‘손을 마주대다’ 라는 뜻을 가진 일본어 ‘셋스루’ 에서 생겨난 놀이로 알려져 있다. 풍습면에서는 제삿상에 올리는 정종과 청주도 일제 잔재 중 하나이며, 장례문화도 지난 1934년 조선총독부의 ‘의례준칙’에 의해 고인에게 입히던 비단옷이 삼베로, 상주가 들던 지팡이가 완장으로 바뀐게 현재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현재에도 우리 생활 속에 일제 잔재가 남아있는 원인으로, ‘인식 부족’을 지목했다. 단순히 생활 속에서 의미가 통한다는 이유로 어렸을 적부터 일본식 용어에 노출돼 아무 문제의식 없이 사용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광복 이후 정책적 논의 없이 막연하게 생활 속에서 개선해야 할 문제로만 여긴 것이 원인”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국립국어원 등 기관을 통한 교육은 물론 장기적인 정책 수립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오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