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세브란스병원 건립 대안 마련하라”

연세대에 캠퍼스 부지 제공에도 10년째 ‘제자리’
시의회, 경제청에 부지계약 전 재원확보 확인 요구

인천시의회가 10년간 제자리 걸음인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을 위한 확실한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25일 제2차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 현안점검 소위원회를 열어 연세대 국제캠퍼스 2단계 사업 관련 부지 매매 계약 전에 연세대의 세브란스 병원 재원 확보 여부를 확인하라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요구했다.

세브란스 병원 건립 주체인 연세대가 재원 마련에 실패하면 병원 준공이 장기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송도 세브란스 병원은 2008년 연세대 국제캠퍼스 1단계 사업에 포함된 후 10년간 답보상태다. 특히 2008년 1단계 사업 당시 조성원가(3.3㎡당 158만원)에 사업 부지를 제공했지만, 세브란스 병원 건립 등 핵심 사업이 지지부진했다.

경제청은 이에 따라 연세대에 국제캠퍼스 2단계 사업 부지를 제공하는 전제조건으로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을 내걸었지만, 시의회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만약 국제캠퍼스 2단계 사업만 추진하고 병원 건립이 또다시 지연되면 특혜 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경제청은 연세대에 조성원가(3.3㎡당 389만원)로 국제캠퍼스 2단계 사업 부지를 제공할 계획이다.

국제캠퍼스 김희철(민·연수구 1) 산업경제위원장은 “연세대가 국내 용인과 중국 청도에서 세브란스 병원을 짓는 중이고 중입자 가속기 등 첨단의료기기를 도입하고 있다”며 “엄청난 재원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송도에 세브란스 병원을 지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며 대안 마련을 요구했다.

이 날 소위원회에서는 국제캠퍼스 사업 전반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다.

강원모(민·남동구 4) 의원은 “연세대 국제캠퍼스 사업은 경제청의 핵심사업이지만 구조적으로 경제청이 관여할 수 없는 구조”라며 “2단계 사업 추진 때는 경제청이 사업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강 의원은 “국제캠퍼스 1단계 사업은 글로벌 캠퍼스, 조인트 유니버시티 캠퍼스(외국 대학과 강의 교류 사업), R&D파크 조성 등이 있는데 이 중 글로벌 캠퍼스 사업만 정상적으로 추진됐다”며 “2단계 사업 때는 사업비를 어느 곳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것이 안되면 1단계 사업처럼 진행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경제청 관계자는 “구조적으로 불합리한 부분은 이번에 변경할 예정”이라며 “현재 명목상 존재하는 비상근감사를 상근감사로 바꿔 경제청이 사업 추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2단계 사업 부지 제공에 대한 계약을 맺을 때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이 이뤄지지 않으면 토지를 환수하는 조항을 넣을 것”이라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