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수원·용인 등 100만 대도시 특례시 실현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고양·수원·용인·창원시 공무원들이 100만 이상 대도시 특례시 실현을 위한 공동연찬회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고양·수원·용인·창원시 공무원들이 100만 이상 대도시 특례시 실현을 위한 공동연찬회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100만 이상 대도시 특례시 실현을 위해 수원ㆍ고양ㆍ용인시 등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원시 등은 특례시에 맞는 사무권한을 발굴하기 위해 4개 지자체 공무원들이 참여하는 공동연찬회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연찬회에는 각 시 분야별 공무원과 연구원 등 50여 명이 참석해 사무·재정·조직·도시계획 등 특례시에 걸맞은 사무권한을 발굴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례 사무 발굴 논의에 앞서 자치분권과 특례시에 대한 특강도 함께 진행됐다.

특강에는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재정분권 분과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는 이재은 고양시정연구원장이 강연자로 나서 ‘대도시 문제와 특례시의 과제’를 주제로 강연했다.

대도시 자치권한 확보를 위해 각 시별로 사전 발굴한 특례사무들은 총 173건으로 사무·재정·조직 등 분야를 나눠 각 분야별 관계공무원들과 연구원들이 분임토론을 진행했다.

분야별로는 사무특례 130건, 재정특례 23건, 조직특례 20건에 대해 논의과정을 거쳤으며, 4개시는 대도시 특례확보를 위한 연구용역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연찬회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현재는 중앙정부나 도에서 불필요한 사전통제를 하거나 역차별 사례들이 많아서 광역행정 수요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다”며 “지속적인 사무 발굴을 통해 중앙정부에 100만 이상 특례시에 걸맞은 책임과 권한 등 이양을 요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동연찬회에 참석한 이춘표 고양시 제1부시장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나누는 과정 하나하나가 모여 특례시가 실현되고 성숙한 지방자치가 완성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4개 대도시 관계공무원들과 시민, 관계전문가 등이 한마음 한뜻으로 대도시 자치권한 확보를 위한 특례사무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감으로써 진정한 시민을 위한 자치분권 등을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제원ㆍ강한수ㆍ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